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발언을 놓고 정치권에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 대표가 평양에서 오해 소지가 다분한 북한 친화적인 말을 하고, 국내 경기침체와 관련해서는 문재인정부의 실책을 외면하는 듯한 발언을 한 탓이다. 발언 내용과 수위가 교육부 장관과 국무총리를 역임하고, 7선 의원인 이 대표의 입에서 나왔다고 믿기 힘들 정도다.
최근 북한에서 열린 ‘10·4 선언 11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한 이 대표는 안동춘 북한 최고인민회의 부의장 등과 면담하며 “제가 살아있는 한 절대 (정권을) 안 빼앗기게 단단히 마음먹고 있다”고 말했다. 남북 관계 악화가 전적으로 보수 정권 때문임을 각인시키는 언급이라고 하겠다. 군사 도발을 감행한 북한 책임론은 언급하지 않은 모양이다. 이 대표는 기자들에게 “평화체제가 되려면 국가보안법 등을 어떻게 할지 논의해야 한다”고도 했다. 여당 대표가 보수·진보진영의 격돌을 야기할 수 있는 민감한 사안을 북한에 가서 거론한 의도를 이해할 수 없다. 이 대표는 국보법과 관련해 말을 바꿨지만, 진보진영의 결집을 노리면서 보수진영과 프레임 전쟁을 하기 위해 덫을 놓으려는 것 같은 느낌마저 준다.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결기도 이 대표에게서는 찾을 수 없다. 이 대표는 지난 8월 “지난 정부 10년간 성장 잠재력이 매우 낮아져서 그 결과가 지금 나타나고 있다”며 과거 정권 탓을 했다. 그런 이 대표가 8일 당정청 회의에서 “경제가 잘 돌아간다는 얘기를 제가 지금까지 공직생활을 하면서 들어본 적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경제부총리가 노심초사하면서 대처하고 있어 잘 극복할 것”이라면서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여당 대표가 경제 실책을 적시하고 대책 마련을 독려해도 부족할 판에 엉뚱한 말을 했다는 질책을 피하기 어렵다. 이 대표는 불통 자세를 자제하고 야당과 대화하면서 청와대에 직언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사설] 이해찬 대표, 발언 신중해야
입력 2018-10-10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