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지수’ 증가폭 16년 만에 최대, 빨간불 켜진 가계 신용

입력 2018-10-09 04:00
가계 신용위험지수 증가폭이 16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농·축·수협 같은 상호금융조합의 신용위험지수도 4년 만에 최고점을 찍었다. 4분기 들어 가계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는 은행들은 금리 상승, 미·중 무역전쟁 심화, 수출 둔화 등을 근거로 가계와 기업 등 전반에 걸쳐 신용위험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은 15개 은행, 8개 신용카드사 등 199개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한 대출행태 동향 및 전망을 8일 발표했다. 국내 은행의 4분기 가계 신용위험지수는 27이다. 전 분기 대비 20포인트 뛰었다. 2002년 4분기(38)의 전 분기 대비 21포인트 상승 이후 최대 폭이다. 신용위험지수의 경우 0을 기준으로 100과 -100 사이에서 플러스(+)는 ‘증가’, 마이너스(-)는 ‘감소’ 쪽을 택한 금융회사가 더 많다는 뜻이다.

신용도가 낮은 취약차주가 주로 이용하는 상호금융조합의 4분기 신용위험지수는 34로 나타났다. 지난 분기보다 8포인트 올랐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4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런 전망은 정부의 대출규제 강화,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관리지표 도입·시행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대출수요의 경우, 생활자금 수요 유입 등으로 가계 일반대출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집값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가계 주택대출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관측됐다.

특히 신용위험은 가계와 중소기업, 대기업 모두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대기업의 경우 미·중 무역전쟁 심화에 따른 수출 둔화 가능성이 주된 요인으로 꼽혔다. 중소기업은 대기업 협력업체의 실적 부진 등이 반영됐다. 가계는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채무상환 부담 증가 등이 감안됐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