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 ‘청각장애’ ‘복지관’ ‘특수교사’ 등 일상생활에 널리 쓰이는 장애 관련 어휘가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려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1999년 표준국어대사전이 발간된 후 20년 가까이 장애 관련 어휘 연구가 멈춰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글날(9일)을 앞두고 한국장애인인권포럼 부설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가 표준국어대사전을 모니터링한 결과 15개 법정 장애유형 중 사전에 실려 있는 어휘는 ‘정신장애’ ‘언어장애’ ‘지적장애’뿐이다.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 등 나머지 12개 장애유형의 뜻풀이는 찾을 수 없다. 센터는 “법정 장애유형은 사용빈도를 떠나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주므로 반드시 사전에 등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립국어원은 새로운 어휘를 사전에 넣을 때 언론 노출빈도를 주요 근거로 삼는다. 센터는 국민일보를 포함한 10대 중앙 일간지가 지난해 8월부터 1년간 보도한 기사를 검색해 사전에 누락된 장애 관련 어휘의 사용 횟수를 집계했다.
조사 결과 ‘편의시설’ 2405건, ‘복지관’ 1709건, ‘바우처’ 541건, ‘스크린도어’(안전문) 339건, ‘활동보조’ 276건, ‘이동권’ 265건, ‘수화(수어)통역’ 252건 등 다수의 장애인복지 관련 어휘가 반복적으로 쓰였지만 사전에선 찾을 수 없었다.
장애인 관련 법률용어인 ‘통합교육’(363건) ‘특수교사’(213건) ‘장애인복지’(208건) ‘장애인의 날’(185건) ‘장애인차별금지법’(115건)도 사전에서 보이지 않았다. ‘아동복지’와 ‘노인복지’는 사전에 있지만 ‘장애인복지’는 없다는 점도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센터는 지적했다.
김근영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 연구원은 8일 “(사전에) ‘복지’나 ‘장애’처럼 기본적인 단어의 뜻풀이도 시대에 맞지 않고 설명이 빈약한 경우가 많다”며 “장애 관련 표제어를 선정할 때 관련 전문가의 참여와 자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정도 국립국어연구원 언어정보과 연구사는 “표준국어대사전은 과거 사전을 참조해 만든 것이어서 지난 19년간 의미가 바뀌거나 확장된 어휘들이 일부 누락됐을 수 있다”며 “지적받은 부분을 검토·수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시각장애·청각장애…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다
입력 2018-10-09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