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워킹맘’은 자녀 보육에 월평균 77만원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 이상이 ‘친정어머니’에게 육아를 의지했다. 영유아 및 미취학 자녀를 키우는 데 워킹맘 부부를 포함해 최대 7명의 도움이 필요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워킹맘 1600명을 조사한 ‘2018 워킹맘 보고서’를 7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유아 자녀의 보육료로 월평균 96만원이 들어갔다. 영유아 자녀를 돌보는 비중은 친정어머니(49.1%)가 워킹맘 본인(45.4%)보다 높았다. 이어 워킹맘 배우자(36.8%) 시어머니(19.6%) 육아도우미(7.1%) 순이었다.
워킹맘은 개인·가정생활의 스트레스로 ‘일과 가사의 병행 어려움’(26.1%)을 가장 많이 꼽았다. 육체 피로 등 건강악화(21.3%), 개인시간 부재(13.8%), 육아 등 자녀에 대한 소홀함(13.6%) 등이 뒤를 이었다. 직장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로는 ‘연차 등 휴가 사용의 어려움’(17.8%)이 가장 컸다.
워킹맘 응답자의 10명 중 8명은 이직 경험이 있었다. 결혼 및 육아 때문에 퇴사한 경우 경력 단절 기간이 3년 이상이었다는 응답이 50%를 넘었다. 응답자 83.0%는 “현재 직장에서 계속 일하고 싶다”고 답변했다. 그 이유로는 ‘가계 경제에 보탬’(60.8%)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워킹맘의 월평균 소득은 251만원이었다. 경력 단절 등으로 계약직, 시간제 근무 형태가 반복되면서 월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워킹맘도 28%나 됐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
고달픈 워킹맘… 월 평균 보육료 77만원 7명이 매달려야
입력 2018-10-08 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