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조원에 육박한 가계부채에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서민·취약계층’과 ‘제2금융권 대출자’에서 부실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시장금리 인상 국면이 이어지면 이들을 중심으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가계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7일 민주평화당 장병완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금융권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올해 들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6월 말 기준 연체율은 0.73%로 지난해 말 0.64%, 지난해 6월 말 0.70%보다 올랐다.
업권별로 보면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나쁜 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제2금융권의 연체율이 더 올랐다. 은행권 연체율은 지난해 6월 말과 지난 6월 말 0.25%로 같았다. 반면 보험은 0.49%에서 0.54%로 올랐다. 특히 저축은행은 4.34%에서 4.80%로, 여신전문금융사는 3.33%에서 3.62%로 뛰었다.
취약계층의 대출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바른미래당 이태규 의원이 금감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 7월 말 기준으로 대부업 상위 20개사 연체율은 6.3%로 지난해 말보다 0.9% 포인트 상승했다. 60대 이상 남성의 연체율이 급증했다. 별다른 소득이 없는 60대 이상 남성들이 대출을 받았다가 연체하는 상황이 벌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19세 이상 30세 미만 남성의 연체율도 8.4%로 지난해 말에 비해 1.8% 포인트 올랐다. 은행권의 대표적 서민금융상품인 새희망홀씨 대출의 연체율도 지난 6월 말 2.5%로 지난해 말 2.3%보다 뛰었다.
고위험성 대출이 과거와 비교해 덩치를 키운 것도 문제다.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의원이 금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국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담보인정비율(LTV) 60%를 넘는 대출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주택금융공사 양도분까지 포함해 15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 ‘고(高) LTV 대출’(LTV 60%를 넘는 대출) 규모는 2010년 말 43조원 수준이었지만 2016년 말 160조원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8·2 부동산대책’으로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제 의원은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등을 종합 분석해 시스템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가계대출, 취약계층·2금융권 ‘연체율’ 급등
입력 2018-10-07 1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