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을 세계 블록체인의 수도로 만들겠다”면서 “앞으로 5년간 1233억원을 투입해 블록체인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유럽을 순방 중인 박 시장은 3일(현지시간) 암호화폐 개발사인 이더리움재단을 비롯해 블록체인 관련 기업 250여개가 밀집돼 있는 스위스의 소도시 주크(Zug)에서 ‘블록체인 도시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꼽히는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를 위한 5개년 중장기 계획으로 서울시의 블록체인 분야 첫 마스터플랜이기도 하다.
서울시는 추진계획에 따라 개포와 마포에 블록체인 기업 200여개가 입주할 수 있는 집적단지를 조성한다. 우선 내년까지 마포 서울창업허브와 개포디지털혁신파크에 73개 블록체인 기업이 입주할 공간을 확보한다. 개포디지털혁신파크 운동장 부지에는 2021년까지 120개 기업이 입주 가능한 ‘서울 글로벌 블록체인센터’를 신축한다.
또 2022년까지 1000억원 규모의 ‘블록체인 서울 펀드’를 조성해 유망기업과 창업기업을 지원한다. 서울시가 136억원을 출자하고 나머지는 민간 투자로 충당한다.
블록체인 전문가 양성에도 나선다. 향후 5년간 전문 인재 760명을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마포와 개포에 ‘서울 블록체인 칼리지’를 연다. 현재 전국적으로 블록체인 전문 인재는 600여명으로 추산된다.
서울시는 또 블록체인 기업들이 기술을 적용하고 검증할 수 있도록 시 행정업무를 테스트베드로 적극 제공한다. 박 시장은 “블록체인 기술을 실제 행정에 적용해보는 것은 다른 어떤 도시에서도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않았다”며 “서울시가 하면 블록체인 산업을 활성화하는 중요한 계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고차 이력관리나 각종 증명서 발급, 수당·보조금 관리, 하도급 자동지급, 자격검증 자동화, 마일리지 통합 관리 등 블록체인 기술을 우선 적용할 수 있는 14개 행정서비스를 선정했고 올해부터 적용해 나간다.
특히 블록체인 기술을 시민참여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하는데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엠보팅’ ‘민주주의서울’ 등 서울시의 온라인 시민투표 플랫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전자투표의 신뢰성을 높이기로 했다. 시의 주요 정책은 물론 아파트단지나 협동조합, 마을공동체 등 지역 커뮤니티에서 현안을 결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블록체인은 모든 거래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이다. 여러 대의 컴퓨터가 기록을 공유하고 대조하기 때문에 데이터 위·변조가 불가능해 금융, 의료, 물류 등 보안성과 신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IT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는 전 세계 블록체인 시장이 2030년 2조16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박원순 서울시장, 개포·마포에 ‘블록체인’ 단지 조성… 200여개 기업 입주
입력 2018-10-05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