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개인사업자 대출의 증가세가 주춤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9·13 부동산대책 효과가 어느 정도 나타나고 있다고 본다. 추석 연휴 이후 부동산 관련 대출 문의는 뜸한 상태다.
이달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본격 도입되면서 가계대출 증가폭은 다소 낮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555조8300억원으로 집계됐다.
잔액은 8월(552조3921억원)보다 3조4379억원 늘었지만 증가폭은 감소했다. 8월 증가폭은 4조6549억원인 반면 지난달 증가폭은 3조4379억원이었다.
증가세가 둔화된 배경에는 마이너스통장 등 개인신용대출이 있다. 주요 시중은행의 지난달 말 개인신용대출 잔액은 103조6752억원으로 전월 대비 1682억원 늘었다. 8월 증가분(9097억원)의 5분의 1 정도에 그쳤다.
금융권에서는 추석 연휴에 따른 상여금 유입 등으로 신용대출 수요가 줄고 대출금의 일부 상환이 이뤄졌을 것으로 본다. 9·13 대책 발표 이후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신용대출로 옮겨가는 ‘풍선 효과’가 한풀 꺾였다는 분석도 나온다.
개인사업자 대출의 증가세도 잦아들었다.
지난달 말 개인사업자대출 잔액은 218조5863억원으로 전월 대비 1조5667억원 늘었다. 전월 증가액(2조909억원)보다 증가폭이 낮아졌다. 투기지역 등 규제지역 내 주택을 담보로 한 개인사업자 대출에 주택담보인정비율(LTV) 40%를 적용하는 등 대출을 옥죄는 부동산대책이 나오면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이와 달리 주택담보대출은 이미 실행된 집단대출 수요와 부동산 규제 전에 ‘막차’를 타려는 수요 등으로 증가세가 유지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달 말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94조9071억원으로 전월보다 2조6277억원 늘었다. 8월 증가분(2조8770억원)에 비해 소폭 둔화됐다. 하지만 올해 들어 8월까지 주택담보대출 잔액 증가분(전월 대비)의 평균치인 1조8103억원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난달 실행된 주택담보대출은 2∼3개월 전에 계약이 체결된 건이 대부분”이라며 “이런 상황이 주택담보대출 증가분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
9·13 부동산대책 약발 먹혔나… 가계·개인사업자 대출 증가세 ‘뚝’
입력 2018-10-03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