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간 공무원 1만185명 징계… 교육부·경찰청·과기부 順 많아

입력 2018-10-02 18:10
최근 4년간 금품수수나 공금 횡령, 공문서위조, 품위손상 등으로 징계를 받은 국가공무원이 가장 많은 부처는 교육부와 경찰청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김영우 자유한국당 의원이 인사혁신처에서 제출받은 ‘국가공무원 징계 현황’에 따르면 2014∼2017년 징계받은 국가공무원은 1만185명이다. 교육부가 3693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찰청(3069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659명) 순으로 이어졌다.

연도별 징계받은 국가공무원은 2014년 2308명, 2015년 1518명, 2016년 3015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다 2017년 2344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비위 유형별로는 금품수수로 인한 징계가 가장 많은 곳은 경찰청으로 132명이 징계를 받았다. 이어 국세청(120명) 교육부(93명) 대검찰청(28명) 순이었다. 공금횡령·유용으로 징계를 받은 경우는 교육부가 77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찰청(22명) 농림축산식품부(16명) 과기부(12명)가 뒤를 이었다.

공문서 위·변조로 인한 징계도 교육부가 31명으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경찰청(3명) 법무부(2명) 방위사업청(1명) 등이었다. 품위손상에 따른 징계는 교육부가 2924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찰청(1235명) 과기부(469명) 법무부(319명) 국세청(279명) 순이었다.

이사야 기자 Isaia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