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70주년을 맞아 4·3의 진실과 정의를 국제적 차원에서 조망하기 위한 학술대회가 오는 4일부터 6일까지 제주KAL호텔에서 열린다. ‘제주4·3, 진실과 정의-지속가능한 정의를 향하여’를 주제로 한 이번 행사는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가 주최하고,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학술위원회와 제주4·3연구소가 주관한다.
오는 4일 제1세션 ‘냉전 학살 미국의 책임’에서는 1960년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일어난 대학살과 1940년대 후반 그리스에서 일어난 그리스내전, 같은 시기 일어난 제주4·3의 전개과정 속에서 있었던 미국의 개입과 역할 등을 집중 조명한다. 김헌준 고려대 교수와 무라카미 나오코(히로시마대학교 강사)가 진행하는 토론도 이어진다. 개회식에서는 김명식 시인이 ‘제주4·3 민족민중항쟁의 진실과 정의’를 주제로 기조강연에 나선다.
5일 제2세션 ‘저항, 학살, 국가의 책임’에서는 ‘대만 2·28사건의 재조명 과정(대만2·28기금회 정나이웨이 연구원)’과 ‘과테말라의 열띤 냉전과 제노사이드: 1980년대 초 원주민 학살(아주대 박구병 교수)’ 등이 4·3과 함께 다뤄진다. 토론은 김윤경 서울대 강사와 양정심 이화여대 연구교수가 맡는다.
제3세션 ‘진실, 정의, 연대’에서는 막사이사이상 수상자인 캄보디아 슬레우크리트 연구소의 육창 대표가 ‘세계적 맥락에서의 캄보디아 제노사이드 성찰: 전략적 계획’을 강연한다. 6일에는 4·3평화공원과 4·3유적지 기행이 마련된다.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학술대회에는 국내외 민주연구단체들이 대거 참여하는 만큼 연대와 교류활동의 장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제주 4·3 진실·정의, 국제적 차원서 조명한다
입력 2018-09-30 1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