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1차관 조현·2차관 이태호

입력 2018-09-27 18:10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외교부 1, 2차관을 비롯한 차관급 5명의 인사를 단행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외교부 제1차관에 조현(61·외시 13회) 2차관을, 제2차관에 이태호(58·외시 16회) 청와대 통상비서관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에 정승일(53·행시 33회) 한국가스공사 사장을 임명했다고 밝혔다. 또 특허청장으로 박원주(54·행시 31회)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을, 국립외교원장으로 조세영(57·외시 18회) 동서대 국제학부 특임교수 겸 일본연구센터 소장을 임명했다.

외교부 2차관에서 1차관으로 자리를 옮긴 조 차관은 주오스트리아 대사와 주인도 대사 등을 지낸 정통 외교관이다. 1979년 외교부에 들어온 조 차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국과 주유엔대표부 차석대사와 다자외교조정관, 탄도미사일확산방지행동규범(HCOC) 의장을 역임해 다자무대에서 통상·군축 분야 경험이 풍부하다.

청와대에 있다가 외교부로 복귀한 이 2차관도 다자통상국장과 자유무역협정정책국장, 경제외교조정관 등을 거친 경제통상 분야 전문가다. 조 국립외교원장은 2013년 외교부를 떠날 때까지 외교부 내 대표적인 ‘일본통’으로 꼽혔다.

임성남 외교부 1차관과 조병제 국립외교원장 등 기존 ‘북미 라인’ 인사들이 이번에 다자외교와 경제통상 전문가들로 교체된 것에는 현 외교부 기조에 대한 청와대의 불만이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 외교 소식통은 “북핵 문제 관련 대미 외교에서 미국 쪽 입장에 더 치우진 것처럼 비쳐진 외교부에 대한 청와대의 시그널로 읽힐 수 있는 부분”이라면서 “노무현정부 청와대 근무 경험이 있어 현 정부 정책기조에 익숙한 조 차관의 경우는 ‘포스트 강경화’를 대비한 인사로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 산업부 차관은 에너지산업정책관과 자유무역협정정책관, 에너지자원실장 등 산업부 내 산업·통상·자원 분야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다. 98년 김대중정부 청와대에서 행정관으로 근무한 경험도 있다. 정 차관은 에너지자원실장으로 근무하던 2016년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 추진과정에서 주형환 당시 산업부 장관과의 의견 충돌로 사표를 냈다.

박 특허청장은 산업부에서 산업정책관, 기획조정실장, 산업정책실장 등을 거쳤다. 2007년 노무현정부 청와대에서 행정관을, 2016년 박근혜정부 청와대에선 산업통상자원비서관을 지냈다.

최승욱 이상헌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