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와 對北 상응 조치·적대청산 논의”
연내 김정은 서울 답방 맞춰 ‘종전’ 가능성
트럼프 “멀지 않은 미래에 김정은 만날 것”
제73회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 비핵화 방안과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 문제를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빠른 시기에 종전선언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는 공감대가 대체로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이후 중단됐던 정상외교가 본격 재가동되고 있다. 연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방문까지 앞으로 석 달간 정상외교 결과에 한반도 명운이 갈릴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종전선언이 시급히 체결돼야 한다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는 65년 동안 정전 상황”이라며 “전쟁 종식은 매우 절실하고 평화체제로 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위원장의 비핵화 결단이 올바른 판단임을 국제사회가 확인해줘야 한다”며 “어려운 일이 따를지라도 남·북·미는 정상 간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걸음씩 평화에 다가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전날 미국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 때 종전선언에 대해 충분히 논의했다”며 “종전선언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2차 정상회담에서도 논의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어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미국과 북한 간 적대관계를 청산한다는 상징으로서 (종전선언이) 이뤄지는 것은 바람직하다는 공감대가 대체로 됐다”고 소개했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기에 맞춰 남·북·미 3자 정상의 종전선언이 추진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문 대통령은 또 “북한은 풍계리 핵실험장을 완전히 폐기했다. 유일한 핵실험장이라 두 번 다시 핵실험을 할 수 없다는 의미”라며 “김 위원장은 (지난 18∼20일) 평양 정상회담에서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발사대를 미국 참관 하에 폐기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폐기가 이뤄지면 북한이 핵·미사일로 미국을 위협하는 일은 완전히 없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같은 날 미국외교협회(CFR)·코리아소사이어티(KS)·아시아소사이어티(AS) 공동주최 행사 연설에서도 “북한은 다시는 핵·미사일로 미국을 위협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북한이 불가역적 폐기 조치를 거듭 시행하고 있는 만큼 종전선언 등 미국의 상응조치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문 대통령은 앞선 24일 뉴욕의 한 호텔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취임 후 다섯 번째 양자 정상회담을 갖고 상응조치 시행을 적극 설득했다.
문 대통령은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김 위원장과 논의한 내용을 공유하게 돼 기쁘다”며 “이제 북한의 핵 포기는 북한 내부에서도 되돌릴 수 없을 만큼 공식화됐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은 상당히 개방적인 생각, 훌륭한 생각을 갖고 있고 무언가 이루고자 하는 바람을 가진 것 같다”며 “2차 북·미 정상회담을 멀지 않은 미래에 하게 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한·미 정상은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미국의 상응조치를 포함한 협조 방안을 긴밀히 공조키로 했다”고 밝혔다. 양 정상은 1시간25분간의 회담에서 종전선언 등 구체적인 상응조치에 대한 합의는 발표하지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어떤 식으로 상응조치를 할 수 있을지 두 정상이 논의했다”고 말했다.
뉴욕=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종전선언 공감대”… 앞으로 석달, 명운 가른다
입력 2018-09-26 18:25 수정 2018-09-27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