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정부의 공공주택 공급 확대 방침에 부응해 2022년까지 20만 가구의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기로 했다. 20만 가구 가운데 30%가 넘는 6만1000가구를 신혼부부와 대학생, 사회초년생 등 청년층을 위한 배려한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는 지난해까지 도가 청년층에 공급한 공공임대주택 5500가구의 11배에 달하는 규모다.
중국 다보스포럼에 참석중인 이재명 지사를 대신해 이화영 평화부지사는 2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주거권은 우리 모두가 누려야 할 헌법적 권리이며 국민의 주거권 보장은 국가의 중요한 책무”라며 “안정적인 거주가 가능한 주택을 늘리고, 신혼부부와 청년가구의 주거 진입장벽을 낮추는 등 누구에게나 공정한 경기도, 누구나 살기 좋은 경기도를 열어 가기 위해 공공임대주택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계획대로 실행되면 지난해 말 기준 37만6000가구 수준인 도내 공공임대주택은 2022년까지 57만6000가구로 대폭 늘어난다. 도는 이를 위해 공공택지 내 30년 이상 장기공공임대주택 비율을 현재(22.7%)보다 대폭 상향 확대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와 적극 협의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세부적으로 도는 공공이 직접 건설해 공급하는 건설임대 13만7000가구와 기존 주택 매입 또는 전세를 통해 확보한 후 이를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는 매입 및 전세 임대 6만3000가구로 20만 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연도별로는 올해 3만3000가구를 시작으로 내년 4만1000가구, 2020년 5만1000가구, 2021년 4만4000가구, 2022년 3만2000가구를 공급한다.
도는 그간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의존하던 수동적 공급 방식에서 탈피해 경기도시공사를 통해 20만 가구의 약 20%인 4만1000가구를 직접 공급하기로 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공공임대 20만 가구 추가 공급”
입력 2018-09-20 2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