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20일 비상대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전국 253개 선거구의 지역 책임자인 당협위원장 일괄사퇴 방안을 논의한다. 김병준(사진) 비대위원장 취임 이후 두 달 만에 당 혁신의 제1과제로 꼽혔던 인적 쇄신에 첫발을 뗀 것이다. 하지만 일괄사퇴 처리에 대한 반발도 만만치 않아 적지 않은 후폭풍이 예상된다.
김 위원장과 김용태 사무총장은 19일 새로 임명된 시·도당위원장들과 오찬을 함께하며 이 같은 구상을 밝혔다고 한다. 한국당 당규에는 당 지도부가 최고위원회의에서 사무총장과 시·도당위원장의 의견을 청취한 뒤 사퇴안을 의결하면 당협위원장 사퇴가 완성된 것으로 간주하는 조항이 있다. 당 관계자는 “비대위가 인적 쇄신의 신호탄을 쏘아올렸다”고 말했다. 앞서 김성원 의원 등 한국당 초·재선 의원 14명도 인적 쇄신을 촉구하며 지난 13일 당협위원장 자진 사퇴를 선언한 바 있다. 비대위에서 당협위원장 일괄사퇴가 의결되면 당은 추석 연휴 이후에 조직강화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지역별로 당협위원장 재공모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당초 한국당 안팎에서는 다음 총선이 1년 넘게 남은 만큼 비대위가 인적 쇄신에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하지만 당협위원장 자리를 박탈당할 경우 현역 의원이라도 2020년 총선 공천에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대부분 비대위 조치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당 안팎에서는 벌써부터 “홍준표 전 대표의 측근과 친박근혜계 핵심 인사들이 타깃이 될 것”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다만 비대위의 인적 쇄신이 이뤄지더라도 한시적 조치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내년 초 전당대회에서 들어서는 새 지도부가 또다시 당협위원장 교체 카드를 꺼내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국당은 홍 전 대표 시절인 지난해 12월에도 4분의 1 가까운 62개 지역구의 당협위원장을 교체한 바 있다.
이종선 기자
한국당 당협위원장 일괄사퇴 추진… 김병준號 인적 쇄신 첫발
입력 2018-09-20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