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늘린 증권 거래시간 ‘30분’을 둘러싸고 금융투자업계에서 설전이 벌어지고 있다. 원상복구를 주장하는 쪽은 거래량 증가 등 기대 효과가 미미하다는 점을 든다. 반면 장 마감시간을 되돌리는 건 시스템 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반박도 만만치 않다.
‘거래시간 연장 논란’의 시작점은 2016년 8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한국거래소는 해외 증시와의 시차를 줄여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거래량 증가를 통해 활력을 불어넣겠다며 장 마감시간을 30분 연장했다. 이후 국내 증권 거래시간은 오전 9시∼오후 3시30분이 됐다.
하지만 금융투자업계 근로자들은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거래시간 연장 시점부터 올해 7월까지의 코스피 월평균 거래량은 연장 직전 2년간 거래량에 비해 9.95% 줄었다. 코스닥 월평균 거래량은 30.03% 늘었지만 상장주식 수 증감률(31.68%)을 고려하면 의미 있는 수치로 보기 어렵다. 18일 국회에서 열린 ‘증권노동자 장시간 노동시간 해결방안 모색 토론회’에 참석한 구기동 신구대 글로벌경영학과 교수도 “매매시간 확대로 거래규모가 늘 것으로 예상됐지만 시가총액의 증가율 대비 거래대금 증가율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장시간 근로도 문제다. 거래시간에서 점심시간은 없다. 여기에다 오전 9시 전에는 1시간 동안 ‘시가단일가 매매’가 운영되고, 장 마감 이후에는 종가 정보가 분배된다. 금융투자업계 근로자의 근무시간은 거래시간보다 길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와 달리 금융 당국과 한국거래소는 현행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중국 증시와의 연동성이나 시스템 안정성 문제 때문이다. 잦은 제도 변경이 외국인투자자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권오현 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보는 “모든 문제를 거래시간 연장 탓으로 돌리는 건 불합리하다”고 말했다.
임주언 기자 eon@kmib.co.kr
주식 거래시간 ‘30분’ 논란
입력 2018-09-18 1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