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겨누면 무역협상 안해”… 中의 반격

입력 2018-09-17 18:06 수정 2018-09-17 21:42

중국은 미국의 중국산 제품 추가관세 부과 조치에 맞서 무역협상 자체를 보이콧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중국에서 생산되는 핵심 부품과 원자재 등에 대한 대미 수출 금지도 대미 보복 조치로 거론됐다.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2000억 달러의 중국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면 오는 27∼28일 예정된 무역협상을 거부하고 수출 금지 조치를 취하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은 중국에 무역협상 재개를 제안하면서 다시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에 추가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다. 중국 고위관료는 이런 상황에 대해 “중국은 미국이 중국의 머리에 총구를 겨누고 있는 상황에서 협상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중 양측은 이달 말 워싱턴에서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과 류허 국무원 부총리가 테이블에 앉아 무역협상에 나설 계획이었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17일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이 중국에 새로운 관세 조치를 가하면 중국은 필요한 반격을 취해 합법적이고 정당한 권익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측에선 핵심 부품과 장비 등에 대한 대미 수출을 중단함으로써 미국 대응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여기에는 중국 공장에서 조립되는 애플의 아이폰도 포함될 수 있다고 중국 관리들은 말했다.

러우지웨이 정협 외사위 주임(장관급)은 발전고위층포럼에서 핵심 중간재와 원자재, 부품에 대한 수출 중단이 미국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러우 주임은 “중국이 핵심 중간재 등의 수출을 끊으면 미국이 대체재를 찾는 데 3∼5년이 걸릴 것”이라며 “전쟁의 고통을 느껴봐야 무역전쟁을 멈추려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러우 주임은 또 “미국 정부가 관세 리스트에서 제외했고, 미국 기업들이 관세 대상에서 제외해 달라고 호소하는 물건들이 바로 그 (수출 중단) 제품”이라고 말했다. 그가 중국의 재정부장을 지낸 인사여서 중국 정부의 태도 변화 여부가 주목된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