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폐 기로엔 선 조선대 공영형 사립대로 재도약?

입력 2018-09-12 18:54

조선대(사진)에 ‘공영형 사립대’ 전환을 꾀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1946년 광주·전남지역 7만2000여명의 주민들이 실시일반 성금을 기부해 설립된 전국 최초의 민립대학이라는 정체성을 살려 공영형 사립대로 향후 대학발전을 모색하자는 것이다.

조선대는 “지난달 발표된 2018학년도 대학 기본역량 진단 결과에서 ‘역량강화대학’ 판정을 받은 이후 공영형 사립대 전환을 추진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앞서 지난 7월 법과대 김재형 전 학장이 조선대의 미래좌표를 찾기 위한 세미나에서 이에 대한 여론을 확산시킨 게 계기가 됐다. 강동완 총장도 학내·외 모임에서 “조선대는 장기적으로 공영형 사립대로 가야 한다”며 공감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공영형 사립대는 대학 운영비의 절반 이상을 정부가 지원하는 대신 ‘공익 이사’가 파견돼 학교 재정의 투명성과 인사의 객관성을 담보하는 제도다. 사립대 운영에 공공성을 강화해 운영체제를 획기적으로 바꾸는 것이다.

조선대가 공영형 사립대에 대해 공감하고 나선 것은 대학체제 혁신으로 역량강화대학 판정이라는 창학 이후 최대 위기 상황을 돌파하자는 취지다. 역량강화대학은 학생정원의 10%를 감축하는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하지 않을 경우 대학운영의 기둥인 교육부 재정지원이 중단된다.

상당수 교수들은 시립대학이나 국립대학으로의 변신은 실현 가능성이 낮은 만큼 공영형 사립대를 통해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조선대 정치외교학과 지병근 교수는 “공영형 사립대로 ‘해답’을 찾자는 제안이 잇따르고 있다”며 “지방분권을 주창하는 현 정부 교육정책 방향과도 맞아 떨어진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