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무환”… 지자체들 벌써부터 ‘공공기관 유치戰’

입력 2018-09-13 04:04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서울과 수도권 공공기관의 지방 추가 이전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힌 후 지방자치단체들이 공공기관 유치 전략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지자체들은 집권 여당의 방침이 정부의 정책기조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유치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작업에 들어갔다.

대구시는 공공기관 추가 유치 전략 마련을 위해 대구경북연구원에 관련 용역을 맡겼다고 12일 밝혔다. 결과 보고회는 10월 중 열릴 예정이다. 이 용역은 대구 발전에 필요한 공공기관을 선정하고 이를 유치하는 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대구시는 용역 결과가 나오는 대로 유치 대상 공공기관을 정하고 전담 조직을 구성해 유치 활동을 벌일 계획이다.

경북도는 조만간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할 방침이다. 경북도가 관심을 갖고 있는 도로교통과 농업기술혁신, 식품연구, 일자리 증가에 도움이 되는 기관 등을 선정하고 전략을 세워 유치 활동을 벌일 예정이다. 혁신도시를 품고 있는 경북 김천시도 자체적으로 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TF팀을 구성하고 유치 활동에 들어갔다. 김천시는 경북도와 힘을 모아 필요한 공공기관을 유치한다는 각오다.

대전시는 일찌감치 물밑작업에 들어갔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난 7일 국회를 방문해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건의했다. 또 대전과 충남에 새로운 혁신도시 지정도 정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시가 유치를 희망하는 공공기관은 28곳 정도로 파악되고 있다. 그동안 혁신도시 공공기관 추가 이전 필요성을 주장해온 충북도도 본격적인 유치전 준비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전북도는 금융과 농업 관련 공공기관 유치에 나설 방침이다. 이미 공공기관 추가 이전 대응 TF팀을 구성한 전북도는 정기 회의를 통해 정부와 정치권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대응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유치 가능 기관 검토 작업도 실시해 10개 안팎의 기관을 선별했다.

울산시도 이해찬 대표 발표 직후 공공기관 추가 이전 대응 TF팀을 구성했으며 회의를 열고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한국석유관리원 등 울산 이전 가능 공공기관 17곳을 추렸다. 울산시는 추후 정부의 입장과 동향 등을 파악해 상황에 맞게 대응해나갈 방침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공공기관 추가 이전 움직임이 본격화될 경우 지자체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며 “지역에 꼭 필요한 공공기관을 선별해 미리 맞춤형 전략을 세워두지 않으면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기 때문에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울산·대전=최일영 조원일 전희진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