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정책을 결정하고 자문하는 각종 위원회가 전문가 중심에서 시민 중심으로 개편된다. 특히 청년위원 비율을 15%까지 높인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1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 조례에서 규정한 모든 위원회에서 청년위원 비율을 평균 15%까지 확대해 청년들이 실질적인 시정 참여를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서울의 40세 미만 인구 비율은 30%가 넘지만 올 7월 기준 서울시 각급 위원회의 청년위원 비중은 4.4%에 불과하다”면서 “서울시 위원회에서 청년위원 비율 15%를 달성해 청년정책뿐만 아니라 시정 전 영역에 세대균형적 시각을 반영하겠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시정 참여를 희망하는 각 분야 청년들을 발굴하고 교육해 1000명 규모의 ‘서울미래인재 데이터베이스(DB)’도 구축할 계획이다. 서울미래인재DB는 향후 서울시 위원회의 청년위원 선정 시 인력풀로 활용된다. 이를 통해 박 시장의 남은 임기 중 청년위원 비율 15%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전효관 서울혁신기획관은 “위원회는 서울시정 운영에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해당분야 전문가 중심으로 위원이 구성돼 일반 시민들의 목소리를 반영하는데 부족한 점이 있었다”면서 “앞으로 위원회 구성 시 청년층을 비롯해 가정주부와 학생, 자영업자, 전문직 종사자 등 일반 시민들이 위원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또 내년 3월 전국 최초로 ‘청년자치정부’를 출범시킨다. 시장 직속기구로 ‘청년청’을 신설하고, 기존의 ‘서울청년의회’를 상설화한다. 청년들이 청년의회와 청년청에 대거 들어와 청년정책 기획부터 예산편성, 집행까지 담당하게 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청년이 직접 기획하고 집행하는 500억원 규모의 청년자율예산도 새롭게 편성한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서울시 위원회 청년 비율 15%까지 늘린다
입력 2018-09-11 2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