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 “총리실에 신공항 검증위 설치해 달라”

입력 2018-09-11 04:03
더불어민주당 김정호(김해시을) 의원이 10일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 촉구 공동합의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

부산과 울산, 경남의 3개 시·도 시장과 지사가 10일 국토교통부의 김해신공항 공동검증단과 별도로 자체 검증단을 구성해 안전성 등에 대한 검증에 나서기로 했다. 이들 시장과 지사는 또 국토부 공동검증단과 부·울·경 자체 검증단이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면 최종 판정을 내려줄 기관으로 국무총리실 산하 ‘동남권 신공항 검증위원회’를 설치해줄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총리실에 검증위원회가 설치되더라도 국토부와 이들 지역의 입장 차가 커 김해신공항 건설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오거돈 부산시장과 송철호 울산시장, 김경수 경남지사는 이날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 촉구 공동합의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발표문에서 “정부가 김해신공항의 소음, 안정성, 확장성 등 분야별 문제점에 대해 검토할 검증기구를 조속히 구성해 공정하고 투명한 검증이 이뤄지기를 촉구한다”며 “정부 신공항 검증기구의 결정을 존중하고 수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또 “부·울·경은 신공항 검증기구의 활동에 적극 참여해 김해신공항 건설의 문제점들을 검증하고 대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3개 시·도 시장과 지사는 국토부의 공동검증단에 참여하면서 이와 별도로 실무검증단과 동남권 신공항추진단을 구성해 운영키로 했다. 국토부가 구성하는 공동검증단에 참여해 대안을 제시하겠지만, 별도로 자체 검증단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자체 검증단 구성은 국토부의 논리를 반영할 것으로 예상되는 공동검증단에 맞대응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별도 검증단과 추진단의 구성 및 운영은 3개 시·도 시장과 지사의 공동합의문에는 담기지 않았다.

이들은 국토부 공동검증단과 부·울·경 검증단이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면 최종 판정을 내릴 수 있도록 총리실 산하에 동남권 신공항 검증위원회 설치도 제안했다. 이 제안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김정호 의원은 “총리실 산하 검증위원회는 최종 판단기구로 국토부와 부·울·경 광역단체가 이 검증위원회의 최종결론에 조건 없이 승복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또 “부·울·경 자체 검증단은 공항시설의 적정성 및 확장성, 비행절차 수립의 적정성, 수요예측의 적정성과 확장성, 소음피해 대책 등에 대한 검증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6일 중간 기본용역보고회에서 기존 안대로 활주로를 V자형으로 배치하는 김해신공항을 건설하는 안을 내놨다. 그러나 부·울·경 3개 시·도는 이 안으로는 소음문제 해소나 24시간 관문공항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