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남원에 들어설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원)의 추진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2022년 개교를 목표로 부지가 조만간 확정되고, 연내에 관련 법률이 제정될 것으로 보인다.
9일 전북도와 남원시 등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두 기관이 추천한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원) 후보지 3곳을 분석해 최종 부지를 확정할 계획이다. 당초 전북도와 남원시는 남원의료원 인근 KT&G 부지(8만5922㎡)와 남원의료원 뒤편 부지(5만3000㎡), 남원의료원 건너편 부지(10만5000㎡) 등 3곳을 제시했다.
복지부는 이 가운데 ‘남원의료원 건너편 부지’를 최적지로 판단했으나 막판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복지부는 이 부지의 소유주가 수십 명에 이르러 매입 과정에서 어려움이 예상되고, 토지 정형화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남원시는 자칫 2022년 설립에 차질이 빚어질 것을 우려, 제4의 부지를 조심스럽게 찾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남원의료원의 접근성과 추후 의료대학(원)의 확장 등도 염두에 두고 있다.
전북도와 남원시는 부지가 확정되면 우선 지방비 90억원을 들여 토지 매입에 들어가는 한편 학교 설립에 필요한 후속 행정절차도 빠르게 진행할 방침이다. 남원시는 각 후보지에 대한 투기 가능성에 대비해 개발행위 허가 제한도 검토하고 있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달 28일 관련 법률을 연내에 제정하고, 학교·기숙사 설계를 추진하는 내용이 포함된 내년도 예산안을 마련했다. 교육부도 지난달 1일 ‘2018년도 제2차 국가특수법인 대학설립 심의위원회’를 열어 남원시에 4년제 의학전문대학원 형태의 국립공공의료대학 설립을 의결했다.
이와 관련, 국립공공의료대 설립을 위한 범대책위원회는 “(정부는) 4년제 의학전문대학원이 아닌 6년제 국립공공의료대학을 만들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지리산권에 의대가 설립되는 것은 지역 간 의료서비스 불균형을 개선하고 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남원에 간호대를 포함한 6년제 국립공공의료대학을 만들어야 하며 그것이 진정한 애민정책이자 ‘문재인 케어’ 정책의 일환”이라고 강조했다.
이환주 남원시장도 거들고 나섰다. 이 시장은 이날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의료대학(원)은 새 정부의 국가균형발전과 공공의료정책 강화에 발맞춰 낙후된 지역 의료격차 해소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며 “국가의료 체계의 공공적 성격을 강화하고 기능과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의사뿐만 아니라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 전문인을 함께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남원=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남원 국립공공의료대학 설립 가속도
입력 2018-09-09 1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