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에너지원 쏠림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나 독일 등 선진국이 석탄과 원자력, 천연가스, 신재생에너지 등을 고루 사용하는 것과 달리 한국은 원자력과 석탄 발전 비중이 70%를 넘었다.
4일 업계와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에너지기업 BP가 최근 발간한 ‘2018 세계 에너지 통계 보고서’에서 지난해 우리나라의 발전량 중 원전과 석탄발전 비중은 각각 26.0%와 46.2%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원전 및 석탄발전 비중은 각각 17.8%와 27.2%였다.
특히 한국의 원전 발전량은 지난해 148.4TWh로 미국과 중국, 러시아에 이은 세계 4위다. 국내 발전에서 차지하는 원전 비중은 우크라이나(54.5%)에 이어 2위였다.
석탄발전도 지난해 264.4TWh로 세계 5위에 올랐다. 비중은 남아프리카공화국, 폴란드, 인도, 중국, 카자흐스탄, 호주, 인도네시아, 대만 등에 이어 9위였다.
반면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현저히 낮았다. 한국은 탈원전·석탄 정책과 함께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20%로 늘리기 위한 재생에너지 2030정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8%로 OECD 평균 12.2%를 크게 밑돌았다. 전체 조사대상 30개국 중 20위였다. 친환경 발전원으로 꼽히는 천연가스 발전 비중도 21.1%로 OECD 평균(27.4%)보다 낮았다.
에너지 선진국인 미국은 원자력·석탄·천연가스·신재생에너지 비중이 각각 19.8%, 30.7%, 32.0%, 9.8%로 고르게 나타났다. 독일도 각각 11.6%, 37.0%, 13.1%, 30.3%였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한국, 원전·석탄발전 비중 72%… OECD 대비 에너지원 쏠림 심각
입력 2018-09-04 1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