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자치구, 초등생 대상 무상보육 확대

입력 2018-09-03 21:48
서울 자치구들이 맞벌이부부 육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무상보육 확대에 나선다.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는 초등 돌봄 프로젝트 4개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지원 근거 마련을 위해 전국 최초로 조례 제정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학교 유휴교실 및 종교시설, 아파트 커뮤니티 공간, 동주민센터 등 다양한 공간을 활용해 내년까지 돌봄센터 10곳도 새롭게 문을 연다. 지역아동센터를 활용해 새벽 돌봄이나 야간 돌봄, 이동 돌봄 등 휴일 돌봄 문화쉼터 특화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다.

누리과정으로 무상보육을 실시하는 영유아(만 0∼5세)에 비해 초등 돌봄 지원은 절대적으로 부족해 맞벌이부부들의 육아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성동구는 초등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돌봄 수요를 전수조사하고 ‘돌봄 통합지원 포털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주변 학부모들이 함께 아이를 돌보는 ‘이웃 돌봄’도 확산되고 있다. 서대문구(구청장 문석진)는 지난 7월 24일 연희동 성원아파트 관리사무소에 제1호 초등 돌봄 공동육아나눔터인 ‘신한 꿈도담터’를 열었다. 여성가족부와 신한금융그룹이 민관협력사업으로 진행하는 꿈도담터는 초등학생 학부모들이 모여 육아를 품앗이하고 정보를 교류하는 사랑방이다.

성동구도 초등학생 자녀를 둔 돌봄 희망 부모가 이웃 아동 3∼4명을 함께 돌보는 ‘이웃 돌봄’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성동구는 활동비를 지원하고 돌봄 이웃을 위한 연합행사를 개최하는 등 다각적인 지원에 나선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전국에 모범이 되는 온종일 돌봄 생태계를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