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협상 물꼬 트려면 金 위원장 뜻 직접 들어야
靑 ‘임종석 특사’ 검토했다가 협의 연속성 고려 기존 멤버로
대북 특사인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대표단은 지난 3월 1박2일 방북 일정과 달리 이번엔 당일치기로 북한을 방문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면담을 비롯해 남북 정상회담 일정과 의제 등 안건 상당 부분에 대해 이미 물밑 합의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때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의 특사 파견 관측이 나왔지만 현 대표단이 한 차례 북한과의 협상에 성공한 점을 감안해 기존 멤버로 대표단을 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특사단은 5일 아침 서해 직항로로 방북하고 임무를 마친 뒤 당일 돌아올 예정”이라며 “특사단 구성이 지난 3월 당시와 동일한 것은 방북 목적의 효과적 달성과 대북 협의의 연속성 유지 등을 주요하게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방북 성과의 최대 관건은 김 위원장과의 회동 여부다. 지난달 방북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경우 김 위원장 대신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만 만나고 귀국했다. 청와대 구상처럼 북·미 협상의 파국 위기를 정상외교로 극복하기 위해선 특사단이 김 위원장의 뜻을 직접 들을 필요가 있다.
정부 관계자는 “특사단이 김 위원장을 만나지 못하고 돌아온다면 정상외교를 통해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정부 구상도 커다란 위기에 직면했다는 시그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사단은 지난 3월 방북 당시 김 위원장과 4시간12분간 면담과 만찬을 함께하고 4월 말 판문점 정상회담 개최, 정상 간 ‘핫라인’ 구축 등 네 가지 사안에 합의한 바 있다. 김 대변인은 “김 위원장과의 면담이 성사됐는지는 아직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대북 제재에 위반되지 않는 한 남북 관계 발전을 위해 폭넓게 4·27 판문점 선언 합의 내용들을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임 실장이 특사를 맡는 방안도 검토했다. 상황이 여의치 않은 만큼 청와대 2인자가 직접 나서서 협상에 무게를 싣자는 취지였다. 하지만 기존 특사단이 북한과 성공적으로 호흡을 맞췄던 점을 고려해 안정성을 꾀하는 방향으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번 특사단의 방북 성과가 미흡할 경우에는 ‘임종석 카드’가 다시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
청와대는 특사단 파견이 폼페이오 장관의 추가 방북을 고려한 결정은 아니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은 우리 특사단 방북과는 별개 문제”라며 “폼페이오 장관 방북 문제와 연동돼 같이 논의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 입장에 정통한 정 실장에게 다시 특사 역할을 맡기면서 간접적으로 북·미 협의 내용을 북한과 논의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특사단에 포함된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들고 갈 것으로 전망된다. 특사단은 당초 지난달 설치하려다 실패한 개성공단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설 문제도 이번에 매듭지을 방침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대북 특사단 5일 당일치기 방북… 김정은과 회동 이뤄질까
입력 2018-09-03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