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여성 부총리 후보 유은혜, 대변인만 10여 차례 맡은 학생운동권 출신

입력 2018-08-31 04:00
유은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0일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뒤 국회 의원회관을 나서다 취재진을 만나 인터뷰하고 있다. 유 후보자는 중책을 맡게 돼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뉴시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유은혜(56)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개혁성이 강한 재선 의원으로 교육정책에 관해 당내에서 가장 해박한 의원으로 꼽힌다.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한다면 ‘최초의 여성 부총리’ 타이틀을 얻는다. 여성 교육부 장관으로는 세 번째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30일 유 후보자에 대해 “교육부 조직과 업무 전반에 대한 이해도와 식견이 높고 뛰어난 소통능력과 정무감각을 겸비하고 있다”고 인사 배경을 밝혔다.

유 후보자는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줄곧 활약하며 교육 분야 전문성을 쌓았다. 20대 국회 전반기에는 교문위 여당 간사도 맡았다. 박근혜정부 말기인 2016년 11월에는 민주당 역사교과서 국정화저지특위 위원장을 맡아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에 앞장섰다.

86세대(80년대 학번·60년대 출생) 학생운동권 출신인 유 후보자는 고(故) 김근태 의원과의 인연으로 정계에 입문한 ‘김근태(GT)계’ 인사다. 문재인 대통령과의 인연도 유명하다. 고교 시절 유 후보자의 아버지가 과로로 사망했는데 당시 부산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던 문 대통령의 도움을 받아 산업재해 인정을 받았다고 한다.

유 후보자는 지명 뒤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교육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 중요하다”며 “안정된 교육 개혁을 위해 당면한 현안은 물론 긴 호흡이 필요한 교육정책도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교육부 안팎에서는 유 후보자가 김상곤 부총리 재임 때 큰 혼란을 초래한 정책들보다는 사교육비 부담 경감, 고교 무상교육, 국공립유치원 확충과 같은 비교적 여론이 우호적인 정책들에 주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유 후보자에 대해 “차분하고 온화한 리더십을 발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다”고 말했다.

유 후보자가 장관으로 취임할 경우 맞닥뜨리게 되는 교육 난제들은 만만한 게 하나도 없다. 대입제도 개편안은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교육부가 ‘하청-재하청’ 구조로 정책 결정을 떠넘기는 바람에 대입제도는 누더기가 됐다. 이번 대입 개편으로 민생 경제와 직결되는 사교육비도 들썩이고 있다.

정부의 우군이던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실천교육교사모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좋은교사운동,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등 진보성향 교육 단체들도 줄줄이 등을 돌린 상태다. 이들 단체는 교육부가 진행하는 모든 정책숙려제를 거부한다고 선언했다. 교육부는 학교폭력 대책과 유치원·어린이집 방과후 영어교육 등의 정책을 숙려제로 결정할 예정이다.

교육정책의 신뢰도를 끌어올리는 조치가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다. 대입 개편으로 고교체제 개편이나 성취평가제(고교 내신 절대평가), 고교학점제 등 교육 개혁도 불투명해졌다.

김판 이도경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