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학의 북한학과가 고사 위기에 처했지만 통일부의 지원은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관계에 훈풍이 부는 상황에서 북한 전문가 양성에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경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9일 통일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국내 대학에 개설된 북한학과는 동국대 1곳뿐이다. 이마저도 구조조정으로 입학 정원이 40명에서 15명으로 크게 줄었다.
대북 교류가 일어나던 1990년대 중반에는 대학들이 북한학과를 앞다퉈 개설했지만 이후 낮은 취업률과 관심 부족으로 학과가 폐지(관동대 조선대)되거나 다른 학과와 통합·개편(명지대 고려대 선문대)됐다.
북한학과의 몰락은 통일부의 소극적인 지원과도 무관치 않다. 2000년 이후 통일부가 북한학과를 직접적으로 지원한 내역은 없다. 단기 특강이나 현장학습 지원만 이뤄졌다.
통일부는 2016년부터 서울대 숭실대 등 6개 대학을 통일교육 선도대학으로 지정했다. 이들 대학이 통일교육 모델을 개발하도록 4년간 평균 3억원씩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밖에 통일부는 북한 관련 특강을 개설하는 대학들에 1000만원 정도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김 의원은 “전문인력 지원은 없고 특강 중심의 소양교육만 있으며, 재학생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장학금이나 취업 연계 사업에 대한 검토는 이뤄지고 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2006년 이후 통일부에 특별 채용된 북한학과 출신은 20명이다. 이들은 모두 석사 출신으로, 출신 학부도 북한학과인 이들은 10명에 불과하다. 통일부는 올 하반기 2명 정도를 추가 채용할 계획이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통일을 준비한다고 하면서 정작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거나 활용하는 것은 부족하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
[단독] 남북 관계 훈풍인데, 대학 북한학과는 고사 위기
입력 2018-08-30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