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소매·숙박·음식점업의 대출이 올해 2분기에 역대 최대 폭으로 늘었다. 해당 업종 법인 창업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이미 동종 업종에 종사하는 자영업자들이 포화에 이른 상황에서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면 폐업, 신용부실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18년 2분기 중 예금 취급기관 산업별 대출금’에 따르면 예금 취급기관 산업별 대출은 6월 말 기준 1082조7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12조9000억원 늘었다. 이 증가폭은 지난해 4분기 15조원에서 올해 1분기 18조3000억원으로 확대됐다가 2분기에 5조4000억원 줄어든 것이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한창이던 2016년 4분기(-9000억원) 이후 가장 작은 증가폭이다.
서비스업 대출 증가액(11조5000억원)은 전 분기와 비슷했지만, 제조업 대출 증가액이 5000억원에 그쳤다. 제조업 대출의 1분기 증가액은 4조2000억원이었다. 1분기에 1조3000억원 늘었던 건설업 대출은 4000억원 감소로 돌아섰다. 경기가 그만큼 좋지 않은 것이다.
하지만 서비스업 가운데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대출은 190조8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6조원이나 늘었다. 관련 통계를 편제한 2008년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산업대출 증가분의 절반가량이 도소매·숙박·음식점업에 몰린 셈이다.
한은은 도소매·숙박·음식점 창업이 증가한 게 원인이라고 본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분기별 5000여개 수준이던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신설법인은 올해 1분기 6283개, 2분기 6524개 증가했다.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면 관련 업종의 폐업률이 높아진다. 2015년 기준으로 ‘창업 후 3년 생존율’은 숙박·음식점 30.2%, 도소매 35.5%로 평균(39.1%)을 밑돌았다.
이동훈 선임기자 dhlee@kmib.co.kr
자영업종 법인 창업 급증 여파…도소매·숙박·음식업 대출 역대 최대 폭 증가
입력 2018-08-29 19:05 수정 2018-08-29 2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