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어르신 우대용으로 지급한 교통카드를 부정사용해 발생한 서울시 손실액이 연간 8억7000만원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65세 이상 어르신이 무임으로 지하철을 탈 수 있는 우대용 교통카드 부정사용 건수가 2012년 6160건에서 지난해 2만30건으로 급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전체 부정승차 단속 건수의 절반(44%)에 달하는 수치다. 지난해 기준 발급된 어르신 우대용 교통카드는 126만건이었다.
특히 서울시가 지난 3월 4일부터 같은 달 10일까지 100세 이상 어르신의 우대용 교통카드 사용내역을 서울교통공사와 CCTV를 통해 확인한 결과 이용자 10명 중 9명은 본인이 아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우대용 교통카드를 지인에게 빌려줘 사용하게 한 것이다. 우대용 교통카드 부정사용으로 지난해 서울시 한 해 손실액은 8억7000만원에 달했다.
우대용 교통카드를 타인에게 대여나 양도할 경우 본인은 1년간 카드를 사용하지 못하고 재발급 받을 수 없다. 부정승차자는 승차 구간 운임의 30배를 물게 된다.
서울시는 동일한 역에서 1시간 이내 반복 승차할 경우 4회째부터 카드 인식을 자동 차단한다. 지인 몫까지 대신 찍어주는 부정승차로 간주한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동일역 승하차를 3회로 제한할 경우 월 1500건가량의 비정상 태그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모든 역사를 대상으로 불시단속에 나서는 부정승차 특별단속반도 꾸려진다. 부정승차를 했는지 여부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개찰구를 통과할 때 이용자 유형별로 LED 색깔을 다르게 적용한다. 청소년의 경우 청색, 어린이는 녹색, 장애인이나 유공자는 황색의 화살표 모양이 뜨고 경로우대자는 적색의 표시가 뜬다.
이용자가 사망한 뒤 소지하고 있던 카드를 자녀나 친척 등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사망자 정보 연계 주기도 1주일에서 1일 단위로 단축한다. 사망자 카드를 사용한 부정승차 건수도 2012년 이후 7만7490건에 달했다. 이용액만 약 9700만원이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어르신 교통카드 부정사용 급증… 서울시 작년 손실액 9억
입력 2018-08-28 2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