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 “비핵화 1차 목표는 핵탄두 60% 처리… 최종은 100%”

입력 2018-08-28 18:41 수정 2018-08-28 21:32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오른쪽)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28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장으로 들어가고 있다. 회의에서 정 실장은 북·미 양측의 대화 의지가 확실해 조만간 협상이 재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뉴시스

서훈 국가정보원장은 28일 북한 비핵화의 최종 목표에 대해 “핵탄두가 100개 있다고 하면 100개를 다 처리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서 원장은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같은 입장을 밝힌 뒤 “비핵화의 1차적(1단계) 목표는 60%인가”라는 질의에 “그렇다”고 답했다고 여야 정보위 간사들이 전했다.

서 원장은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방북을 취소한 이유에 대해선 “먼저 종전선언을 채택하라는 북한 요구와 먼저 비핵화를 선언하라는 미국이 충돌하기 때문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 원장은 또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유엔 제재 사항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남북연락사무소는 상시적으로 연락을 하는 곳이고 비핵화를 위한 소통에 도움이 된다”며 “20∼30명의 인원이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도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취소와 관련해 “지금까지 상황 전개의 속도감, 사안의 중대성을 비춰볼 때 협상 초입단계에서 어느 정도 진통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하지만 양측 모두 대화 의지가 확실하기 때문에 협상이 조만간 다시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실장은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이 폼페이오 장관 방북 취소 이유에 대해 묻자 이같이 밝히며 “싱가포르 센토사 합의에서 보듯 양(북·미) 정상 간의 합의 조기이행 의지가 강하기 때문에 과거와는 다른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 실장은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취소가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의 적대적 편지 때문이 아니냐는 자유한국당 김성원 의원의 질의에 대해서도 “그러한 상황까지 간 것은 아니다”며 “센토사 합의 4가지를 포괄적으로 이행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 균형을 맞추기 위한 조율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정 실장은 다음 달 열릴 남북 정상회담 영향에 대해선 “9월 중에 평양에서 개최하기로 합의했고 이미 발표했다. 그러한 약속이 이행될 것으로 본다”며 “그렇게 계획하고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폼페이오 방북 취소 이후 미국과 논의가 있었느냐는 무소속 손금주 의원의 질의에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폼페이오 장관과 통화했고 저는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통화했다”며 “한·미 간에 상세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정 실장은 운영위 업무보고에서 “남북관계와 북·미 관계가 선순환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주도적 역할을 수행해 나갈 것”이라며 “정부는 4·27 판문점 선언을 착실히 이행하고 북·미 공동성명 합의사항의 신속한 추진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도 같은 회의에서 “남북연락사무소 개소는 남북이 열기로 합의한 상황이며, 시점은 조금 유연하게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임 실장은 “폼페이오 장관 방북 문제는 일회성 방북이 아니라 중요한 시점(의 방북)이기 때문에 남북연락사무소 개소가 한·미 간 공조에 도움이 된다면 시점을 딱 정하기보다는 효과적 방법으로 유연하게 대응하겠다는 취지”라고 부연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도 남북 정상회담 일정에 대해 “전혀 흔들림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대변인은 “북·미 간 협상이 교착상태여서 오히려 남북 정상회담의 필요성은 더 커졌다”며 “그런 점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역할은 더 커지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임성수 심우삼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