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6명 교체, ‘존재감 없는 장관’ 정리 방침

입력 2018-08-27 18:29 수정 2018-08-27 21:29
이낙연 국무총리가 6월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일자리 문제 등을 논의하는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뉴시스

집권 2년차를 맞아 ‘원포인트’ 개각을 구상했던 청와대가 최근 중폭 개각으로 방향을 잡고 인선 마무리 단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 관계 진전 덕분에 높아졌던 국정 지지율 착시 효과를 걷어내고 집권 2년차에도 여전한 정책 누수를 손보기 위해서다. 청와대는 정책 존재감이 없는 장관들을 대거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청와대는 집권 1년을 맞은 지난 5월 당시 공석이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외 1개 부처 장관 정도만 교체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6월 지방선거 압승 이후 정책 실패와 업무 태만이 이어지자 교체 폭을 넓히기로 결정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27일 “개각 대상 검토와 인선은 대부분 마무리됐다”며 “문재인 대통령의 결단만 남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개각 대상은 주로 정책과 관련해 ‘사고’를 쳤던 장관들과 고용·경제 부진에 따른 일부 경제부처 장관들이 거론된다. 청와대는 최대 6개 부처 개각을 단행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대입제도 개편 혼선과 존재감 부재로 교체 가능성이 높다. 이 자리에는 유은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거론된다. 유 의원은 20대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간사를 지냈고 박근혜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에 앞장섰다. 유 의원은 지난해 5월 문재인정부 출범 직후부터 입각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국군기무사령부 계엄령 문건 대응에 실패한 송영무 국방부 장관도 교체 대상으로 거론된다. 다만 군 내부의 반발이 극심한 장성 감축 방안을 밀어붙이는 등 개혁에 적극 나선 데 대한 긍정 평가도 없지 않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송 장관 유임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있다.

환경부와 여성가족부도 현안 대응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환경부는 올 초 재활용 쓰레기 대란으로, 여가부는 성폭력 고발 캠페인인 미투(#MeToo) 운동 대응에서 모두 낙제점을 받았다.

경제부처에서는 고용노동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개각 대상으로 꼽힌다. 김영주 고용부 장관 후임으로는 민주당의 우원식 전 원내대표와 한정애 의원이 거론된다. 우 전 원내대표는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위원장을 맡으며 비정규직 처우개선에 힘써 왔다. 한 의원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를 맡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문 대통령이 ‘여성 장관 30% 시대’를 천명했던 점을 들어 유은혜·한정애 의원의 입각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