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통학버스 내 어린이 갇힘(질식)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시가 운영·지원하는 공립초등학교 스쿨버스 53대에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27일 밝혔다.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은 스쿨버스 운전자가 모든 어린이의 하차를 확인한 후 차량 맨 뒷좌석과 차량 내·외부에 설치된 NFC(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태그하면 학부모와 학교 관리자에게 안전 하차 연락이 가는 방식이다. 1개 차량에 3개씩 달려있는 NFC 단말기를 다 태그하지 않을 경우, 운전자·탑승보호자 스마트폰과 학교 관리자 PC에 1분 간격으로 경보음이 울려 어린이 차량 갇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서울시는 지난 14일 53개 공립초등학교 스쿨버스 운전자와 탑승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스쿨버스의 사고예방수칙, 응급처치, 심폐소생술 등 안전교육도 실시했다. 서울시는 현재 스쿨버스를 운영하고 있는 53개교 이외에도 등하교 여건이 열악한 공립초등학교들이 더 있다고 판단해 내년에는 스쿨버스 운영을 58개교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총 40억9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한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서울 공립초교 스쿨버스 53대에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도입
입력 2018-08-27 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