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전기차에 이어 노트북용 배터리에도 저(低)코발트 제품을 앞세워 시장 공략에 나선다.
LG화학은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신기술을 적용해 양극재 내 코발트 함량을 기존 제품보다 70% 이상 줄인 노트북용 ‘저코발트 배터리’(사진) 판매 비중을 확대한다고 27일 밝혔다.
기존 IT기기용 배터리에는 코발트 함량이 100%인 ‘리튬코발트산화물(LCO) 배터리’가 주로 적용됐다. 동일 면적일 경우 LCO 배터리에 담을 수 있는 전기에너지가 많아 효율성이 좋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발트는 원료 가격이 높고 수급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LG화학에 따르면 코발트 가격은 2016년 t당 2만∼3만 달러에서 올해 3월 9만5500달러(약 1억6000만원)로 3배 이상 올랐다. 코발트 주요 산지인 콩고민주공화국 내전, 광업법 분쟁 등으로 공급 위험 요소도 있다.
LG화학은 자동차용 배터리에 적용한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를 IT기기용으로 확대 적용했다. 독자적인 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에너지 밀도를 기존 LCO 배터리와 근접한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LG화학은 현재 10% 수준인 NCM 배터리 판매 비중으로 내년에 40%로 올리고 2020년에는 60%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LG화학은 2020년까지 양극재의 코발트 함량이 5% 이하이면서 니켈 함량이 90%에 달하는 ‘하이-니켈 배터리’까지 양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LG화학 김종현 전지사업본부장은 “향후 배터리 내 코발트 함량을 더욱 줄여 다양한 IT기기에 적용해 전지산업 전반적으로 코발트 사용량 저감에 크게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LG화학 “低 코발트 배터리로 노트북 시장 공략”
입력 2018-08-27 1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