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초유의 3연임 도전… 개헌 밀어붙이나

입력 2018-08-26 18:39

아베 신조(63) 일본 총리가 자민당 총재 3연임을 위해 공식 출사표를 던졌다. 아베 총리는 총재 선거 승리를 바탕으로 자위대 존재 근거를 마련하는 등 전쟁 가능한 국가로의 개헌 추진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아베 총리는 26일 가고시마현 다루미즈시에서 2021년까지 3년간 당을 이끌 총재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아베 총리는 “새로운 나라를 만들어가는 선두에 서겠다”고 결의했다고 NHK 등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다음 달 20일 실시되는 자민당 총재 선거는 2012년, 2015년에 이어 3연임을 노리는 아베 총리와 이시바 시게루 전 간사장의 2파전으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다.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승리하면 차기 총리가 된다. 현재로서는 아베 총리가 압승을 거두고 전후 최장기 총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총재 선거는 국회의원(405표)과 지방 당원(405표)의 투표로 진행되는데, 아베 총리는 의원 표 중 257표를 이미 확보하며 승기를 잡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베 총리는 2012년 총재 선거에서 이시바 전 간사장에게 지방 당원 투표에서 밀렸지만 이번에 일찍부터 지방 당원 관리를 해왔다. 이번에 출마 선언을 도쿄가 아닌 지방 소도시에서 한 것도 지방 당원의 표를 의식해서다.

아베 총리는 그동안 가을 임시국회에 개헌안을 제출하겠다는 등 개헌을 총재 선거의 주요 쟁점으로 띄웠다. 자민당은 이미 평화헌법 조항인 헌법 9조의 1항(전쟁 포기)과 2항(전력 보유 불가)을 그대로 둔 채 자위대의 존재를 명기하는 개헌안을 마련한 바 있다. 아베 총리는 이런 개헌안을 갖고 1차 개헌에 성공한 뒤 재차 2항을 삭제하는 개헌을 추진해 일본을 전쟁 가능한 국가로 변신시키는 ‘2단계 개헌’을 꾀하고 있다.

아베의 개헌 추진은 외조부 기시 노부스케 전 총리부터 이어진 숙원이지만 총재 3연임과 이후 구심력 확보를 위해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아베 총리는 지난해 5월 ‘개정 헌법의 2020년 실시’를 내걸면서 개헌론을 밀어붙였다가 사학 스캔들로 지지도가 내려가자 한발 물러선 상태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