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중한 부동산 시장 상황 고려, 상황 점검반 운영… 정부 협력”
공공주택 공급은 예정대로 ‘시장과열 한몫에 부담’ 해석
박원순 서울시장이 여의도·용산 개발 계획을 전면 보류했다. 여의도·용산 발(發) 부동산 광풍이 서울 지역 전체로 번진 만큼 마스터플랜을 보류해 시장 안정화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6일 서울시청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관련 서울시 입장’을 발표했다. 박 시장은 “최근 주택시장이 이상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어 우려하고 있다”며 “여의도·용산 마스터플랜 발표와 추진은 엄중한 부동산 시장 상황을 고려해 주택시장이 안정화될 때까지 보류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박 시장은 지난달 10일(현지시간) ‘리콴유 세계도시상’ 수상을 위해 방문한 싱가포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여의도를 통째로 재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 용산 지역에 대해서도 “서울역∼용산역 구간 철로를 지하화하고 이 구간에 MICE(전시컨벤션 관광산업) 단지와 쇼핑센터 건립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이 보도되면서 여의도와 용산 일대 부동산 호가는 2억원 넘게 뛰었다.
문제는 부동산 시장 과열이 여의도·용산 일대에만 그치지 않고 인근 지역인 마포와 동작 등 서울 전체 지역으로 번졌다는 점이다. 여기에 지난 19일 박 시장이 옥탑방에서의 ‘한 달 살이’를 마무리하며 ‘강북 균형발전’을 발표하자 서울 외곽지역까지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다. 8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은 2월 말(0.40%) 이후 26주 만에 최대치인 0.34%를 기록했다.
박 시장은 이날 “마치 모든 건물을 한꺼번에 올리는 것처럼 부동산적 관점으로만 해석되면서 과열 조짐이 생겨났다”고 해명했다. ‘통째로 재개발’이란 표현은 완전철거 후 재개발이 아니라 “개별단지의 난개발을 막는다는 취지”라는 설명이다. 강북 균형발전 역시 “정책 구상의 시발점은 ‘마을’이고 ‘골목’이었다”며 “대기업 프랜차이즈에 점령당한 골목길을 살려내고 노후 낙후 주거지 문제를 도시재생을 통해 해결하겠다는 것”이라며 경전철 착공 등 인프라 확대에만 초점을 맞춰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국토교통부의 부동산 추가 규제가 예고된 상황에서 박 시장이 긴급 브리핑을 자처한 이유에 대해 자신의 발언들이 시장 과열에 영향을 줬다는 부담을 느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박 시장은 “최근 부동산 과열은 어느 하나의 이유 때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라며 자신의 발언 때문만은 아니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철도 지하화’ 등 일부 사업의 경우 국토부와 먼저 협의해야 한다는 현실적 문제가 고려됐다는 해석도 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앞서 “여의도·용산 개발은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의하며 추진해야 한다”며 제동을 걸었다.
서울시는 이밖에 지난 2월 서울시 공적임대주택 24만호 공급계획을 발표한 대로 추진해 서민 주거안정에 나서겠다는 계획도 덧붙였다. 행정2부시장 직속의 ‘부동산 상황 점검반’도 설치해 정부와 협력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여의도·용산 개발 계획, 집값 안정 때까지 보류”
입력 2018-08-26 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