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3일 내놓은 ‘분기별 가계(소득)동향조사 결과’는 1년3개월 만에 공식 발표된 통계다. 통계청은 지난해 5월부터 지금까지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국가통계포털에만 공표하고 공식 브리핑을 갖지 않았다. 가계동향조사 결과가 소득불평등 상황을 왜곡한다는 지적에 따른 결정이었다. 이 조사는 선정된 표본가구가 가계부에 월 단위로 소득을 기입하게 하는 방식으로 통계수치를 산출한다. 소득을 축소하거나 과다 기입해도 확인할 방도가 없다.
그러나 문재인정부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하나로 가계동향조사 결과의 발표를 재개키로 했다. 통계청은 이날 발표를 하면서 “전년도와 올해 통계수치를 직접 비교할 때 유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표본가구가 지난해 5500가구에서 올해 8000가구로 늘었고, 고령층 가구의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표본가구에서 60세 이상 가구주 비중은 지난해 2분기 34.7%에서 올해 2분기 37.2%로 늘었다.
가계동향조사 결과는 올 들어 이미 한차례 논란을 겪었다. 지난 5월 저소득층 소득이 급감했다는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가 나오자 청와대는 이를 반박했다. 당시 청와대는 가계동향조사의 원시자료를 한국노동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에서 재가공하게 했다. 그 결과를 근로자 개인 기준으로 다시 집계했더니 근로자 90% 이상의 소득이 늘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청와대가 ‘가구’가 기준인 통계를 ‘개인’으로 가공해 왜곡했다는 비판이 일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가계동향조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표본가구를 더 늘리는 등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
‘가계동향조사’가 뭐길래
입력 2018-08-24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