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공장·지하철 ‘삐거덕’…광주시 ‘핵심 사업’ 흔들

입력 2018-08-23 19:16
사진=뉴시스

민선7기 광주시의 최대 현안인 현대자동차 투자와 제2순환도로 건설사업 등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매끄럽지 못한 행정, 시장의 적절치 못한 언행 등이 문제로 지적된다.

광주시는 ‘광주형 일자리’와 결부된 완성차 광주공장 설립에 관한 용역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연봉 4000만원을 뼈대로 한 광주형 일자리를 전제로 현대차와 합작법인을 설립하기에 앞서 명분을 확보하는 차원이다. 하지만 시의 이 같은 용역 발주는 앞뒤가 뒤바뀐 행정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500억원 이상 신규투자에 필수적인 중앙정부의 중앙투자심사를 받으려면 전문기관의 용역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제야 이 과정에 나선 것이다. 이후로도 기본사업계획서 작성, 경제성 분석, 정책적 타당성 분석, 종합평가 등을 거쳐야 한다. 당초 8월 안에 마치려던 현대차 투자협약식과 공장 착공식 등은 사실상 물 건너간 셈이다.

광주형 일자리의 전제조건인 노·사·민·정 대타협도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민선 7기 이후 출범한 광주시 일자리위원회에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나란히 불참했기 때문이다. 시는 미숙한 대처로 상호신뢰의 분위기를 깨고 노동계를 일자리위에서 자의반타의반 배제해 후유증을 예고하고 있다.

이용섭(시장) 시장이 ‘찬바람 불기 전에 매듭 짓겠다’고 수차례 공언한 광주지하철 건설방식도 여전히 안개속이다. ‘시민참여형 숙의조사’ 방식 도입과 ‘공론화위원회’ 구성방안 등을 둘러싸고 시민단체들과 갈등의 골만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공론화위원회 구성실무를 맡은 최영태 광주시 시민권익위원장은 지난 20일 “9월 말, 10월 초라는 시기에 얽매이지 않겠다”고 언급해 이 시장의 ‘찬바람 종결론’은 온데간데없게 됐다.

공무원 조직을 추스르고 갈등과 반목을 주도적으로 풀어야할 이 시장의 언행도 구설에 올랐다. 이 시장은 지난 16일 시장실을 찾은 시민단체 회원들에게 “어디서 배운 버르장머리냐”고 호통을 쳤다가 지난 21일 취임 후 두 번째로 대시민 사과를 하는 등 체면을 구겼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