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22일 총신대(총장 김영우) 재단이사 15명 전원의 임원 승인을 취소를 통지했다. 전 이사장인 김영우 총장과 전 이사장 직무대행 안명환 목사에게도 동일한 처분을 내렸다. 교육부가 지난 3월 21일 실태조사에 나선 지 5개월여 만이다. 이번 조치의 대상자는 사립학교법 제54조의 3(임명의 제한)에 따라 앞으로 5년간 학교법인의 임원과 총장에 임명될 수 없다.
교육부 사립대학정책과 관계자는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실태조사 청문회 등을 통해 재단이사들이 학교를 정상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책임을 다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또 “정상화를 호소하는 학생들을 해산하려고 용역을 동원하는 등 파행도 초래했다”고 덧붙였다.
지난 1월부터 김 총장과 재단이사 퇴진을 촉구해 온 학생들은 교육부 결정에 환영의 뜻을 밝혔다. 총신대신학대학원 비상대책위원장인 곽한락 전도사는 “지난한 싸움 끝에 하나님께서 총신 정상화를 위한 단추 하나를 더 끼우게 해 주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임시이사 파송, 정관 개정 등 진정한 정상화를 위해 학생 교수 교직원이 하나로 힘을 모으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학교가 정상화될 때까지 개인적으로 졸업을 무기한 연기한 만큼 내부 결속에 힘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우(총신대 총학생회장) 전도사는 “학교 내부에서 김 총장을 지지해 온 부역 교수들의 공식 사과와 퇴진을 위해 활동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총신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제도를 정비하는 과정에 주인의식을 갖고 목소리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임시이사 파송을 위한 다음 단계는 27일로 예정된 교육부 사학분쟁조정위원회다. 사분위는 해임된 재단이사 15명을 대신할 임시이사 후보를 선정한 뒤 최종 선출하는 등 임명 절차를 이어갈 계획이다.
총신대 운영이사회(이사장 송귀옥 목사)는 지난 14일 열린 정기총회에서 규칙을 개정하며 학교 정상화를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13인으로 구성되는 총장후보추천위원회에 최초로 학생과 동문회 대표를 포함시켰고 총장 후보는 공개 채용키로 했다. 직전 운영이사장 강진상 목사는 “김 총장과 재단이사들이 깨끗하게 승복하고 총신대를 바로세우기 위해 결단내리길 바란다”고 전했다. 재단이사장 박재선 목사는 “(교육부 조치에) 아쉬움은 없다”며 “이른 시일 내에 이사들과 만나 대책을 강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글·사진=최기영 기자 ky710@kmib.co.kr
교육부, 총신대 재단이사 15명 전원 임원 승인 취소
입력 2018-08-24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