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장기화… 지자체, 실질적 지원 나서

입력 2018-08-14 21:52
폭염이 장기화되면서 지자체들의 폭염 지원 방식도 다양해지고 있다. 온열질환 취약계층이 모인 시설에 전기료를 지원해주거나 폭염 탓에 일하지 못한 수입을 보전해주는 실질적인 지원도 등장했다.

서울 중구는 관내 민간어린이집 23곳의 7·8월 요금을 전액 지원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기존에는 정원에 따라 최고 26만원까지 냉방비를 보조해주고 있었지만 올해는 한시적으로 추가 지원하는 것이다. 어린이집에서 고지서대로 전기요금을 먼저 납부하면 구에서 이를 확인해 보전해주는 방식이다. 중구는 가용 예산이 부족한 경우 추경 예산에 반영해서라도 지원한다는 입장이다.

경기도 성남시는 무더위쉼터로 지정된 경로당 110곳의 7∼9월 전기료를 지원한다. 예년보다 추가로 나오는 전기료에 대해 전액 지원하는 방식이다. 전기료 부담으로 냉방기를 마음껏 사용하지 못하는 경로당이 없도록 실질적인 지원에 나선다는 설명이다.

폭염 속 야외활동을 해야 하는 근로자들에게 휴식을 권하고 그 대신 임금을 보전하는 방식도 등장했다. 서울시는 폭염경보가 발령되면 시나 자치구, 투자출연기관이 발주한 공사 현장 근로자들의 오후시간 실외작업을 중지하는 대신 여기에 따른 임금을 보전해주기로 했다. 폭염인 줄 알면서도 임금 삭감 우려로 일터에 나가야 하는 근로자들의 우려를 덜어주기 위한 조치다.

폭염에도 생계를 위해 어쩔 수 없이 폐지를 주워야 하는 어르신을 위해 수입을 보전해주는 자치구도 등장했다. 서울 중구는 어르신들이 폭염 기간 야외활동을 중단할 것을 당부하고 휴식으로 인한 손실을 보전해주기로 했다. 관내 폐지수집 노인은 32명 정도다.

제대로 목욕을 할 수 없는 노숙인을 위해 지원에 나선 자치구도 있다. 서울 영등포구는 거리 노숙인을 대상으로 지난 6일부터 신형 이동목욕차량을 운영하고 있다. 기존에는 7·8월의 경우 이동목욕차를 운영하지 않았지만 폭염이 심각해지면서 올해는 연중 주 4회로 확대 운영키로 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