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경찰’ 광복절 집회에 첫 투입… 시위대-경찰 중재

입력 2018-08-14 18:32

서울경찰청은 여러 단체의 대규모 도심 집회가 예고된 광복절(15일)에 처음으로 ‘대화경찰관제도’를 시범운영한다고 14일 밝혔다.

정보 및 경비경찰로 이뤄진 대화경찰관 36명은 3인 1조로 나눠 서울 8개 지역에 분산 배치된다. 정보과 소속 대화경찰관은 집회 주최 측과, 경비 소속 대화경찰관은 집회 참가자들과 소통하며 애로사항을 듣고 이를 경찰에 전달해 입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집회현장에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대화경찰관들은 별도의 조끼를 착용한다.

대화경찰관제도는 스웨덴에 2008년 도입된 대화경찰제를 본뜬 것이다. 스웨덴의 대화경찰들은 집회·시위가 열리기 전부터 주최 측과 접촉해 시위대와 경찰 간 다리 역할을 한다. 현장에서 충돌이 우려되는 상황이 생기면 양쪽을 오가며 중재한다. 집회·시위 종료 후 경찰의 입장 발표에도 인권적 관점에서 개입한다. 경찰은 지난 1일 집회·시위의 자유와 인권 보장을 위해 한국형 대화경찰관제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대화경찰관들이 가교 역할을 수행하며 현장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해결하는 등 평화적인 집회·시위 문화 정착에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사야 기자 Isaia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