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산 위기 상태로 법정관리를 받고 있는 강원도 춘천시 시내버스 업체의 노조가 파업을 예고해 시민 불편이 우려된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대동·대한운수지회 소속 노조는 지난 10일부터 이틀간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한 결과 대한운수 지회 96%, 대동운수 지회 92% 찬성율로 파업을 가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예전에는 대동운수와 대한운수가 별개 회사였으나 합병해 한 회사가 됐다.
노조는 지난 6월부터 상여금, 근속수당, 운전수당 지원과 배차 대기시간을 근무시간에 포함해 줄 것을 요구하며 사측과 단체교섭을 진행했으나 결렬됐다. 노조는 15일 열릴 제2차 조정회의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파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노조는 춘천시에 완전공영제 시행도 촉구하고 나섰다. 노조는 “춘천시의 손실보전금 없이는 단 하루도 운영할 수 없는 상태에서 민간 사업자에게 시내버스 운영을 계속 대행시켜서는 안 된다”며 “시는 공영제 시행을 위한 예산 배정 및 운영 조례를 즉각 제정하라”고 촉구했다.
춘천의 유일한 시내버스 업체인 대동·대한운수는 경영악화를 이유로 지난 1월부터 법정관리를 받고 있다. 시는 기업 회생을 돕기 위해 버스 차고지 매입과 공영제, 준공영제 등 시내버스 운영체계 전환을 검토 중이다.
시는 파업이 이뤄질 경우 파업 미참여 운수종사자에게 36개 시내노선의 정상 운행을 맡기고, 54개 외곽노선은 전세버스를 임차해 운행하는 등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기업 회생을 위해 근로자와 회사, 시가 함께 노력 중인데 노조가 파업까지 시도하려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며 “최대한 시민 불편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파산 위기 내몰린 춘천 시내버스, 노조가 파업하는 사태까지 맞나
입력 2018-08-14 2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