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과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 4대 가운데 3대가 운행 중단 위기에 놓였다. 인천에 본사를 둔 6개 광역버스 업체가 경영난을 이유로 오는 21일부터 19개 노선의 버스 259대 운행을 중단하겠다고 인천시에 통보했기 때문이다.
12일 인천시에 따르면 신강교통과 인강여객, 선진여객, 천지교통, 마니교통, 신동아교통은 지난 9일 시에 폐선 신고서를 제출했다. 이들 인천에 본사를 둔 6개 광역버스 업체들의 노선은 인천∼서울 노선 광역버스의 75.3%를 차지하고 있다. 만약 이들 노선이 중단된다면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의 극심한 불편이 예상된다. 인천시는 민원처리 규정에 따라 오는 16일까지 노선 폐지 수용 또는 반려 여부를 버스업체에 회신해야 하나 현재로서는 뾰족한 대안이 없는 상황이다.
이들 업체 경영난의 직접적인 원인은 이용객의 감소다. 수인선과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 등 수도권 철도망 확충으로 2013년 2326만명에 이르던 이용객이 4년 만인 지난해 1685만명으로 27.6%나 급감했다. 여기에다 올해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분 등 23억원을 지원해 주겠다고 약속했던 인천시가 “정부가 부담해야 할 부분을 지자체가 지원해야 하는지 검토가 필요하다”며 지원 계획을 없던 일로 하면서 기름을 부은 꼴이 됐다. 광역버스업계는 인천시가 지원하기로 했던 23억원을 애초 계획대로 지급하지 않으면 노선 폐지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내버스의 경우 준공영제에 근거해 연간 1000억원의 예산을 지원하면서 광역버스에는 한 푼도 지원하지 않는데 대해 그간 광역버스 업체들 사이에서 쌓인 앙금이 이번 단체 행동으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인천시는 2009년부터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으나 광역버스 업체들은 준공영제 적용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인천=정창교 기자
인천∼서울 광역버스 4대 중 3대 운행 중단 위기
입력 2018-08-12 2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