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콜 대상 BMW 9만대가 독일을 돌아다니고 있다” 유럽도 리콜

입력 2018-08-08 19:29 수정 2018-08-08 21:11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오른쪽)이 8일 경기도 화성에 위치한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을 방문해 류도정 연구원장으로부터 BMW 차량 화재 사고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부품 결함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BMW 차량의 추가 화재 피해를 막기 위해 긴급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차량에 대해 운행중지를 명령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운행중지 명령이 발동될 경우 발이 묶이게 될 차주들의 반발이 예상되지만 국민 안전을 위해 특단의 조치를 내릴 수밖에 없다는 게 국토교통부의 입장이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8일 경기도 화성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김 장관은 “터널이나 주유소, 주차장 등 공공장소에서 예기치 못한 차량 화재가 발생하면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차량과 화재 위험이 있는 차량은 구입과 매매도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 장관은 또 BMW 본사에 “엔진 결함의 위험성을 2016년부터 알고 있었는데도 은폐했다는 의혹을 해소하고 유독 한국에서만 빈번하게 차량 화재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납득할 만한 답을 내야 한다”면서 “여러분의 나라에서 한국산 자동차가 유사한 사고를 냈을 때 어떤 조치를 내렸을지 상정하고 그와 동일한 수준의 조치를 이행할 의무가 있다”고 요구했다.

BMW 차량 부품 결함 문제의 파장은 유럽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독일 언론 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FAZ)은 BMW가 유럽에서도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부품 결함으로 디젤차 32만3700대를 리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FAZ는 “전체 리콜 대상 차량 중 9만6300대가 현재 독일 곳곳을 돌아다니고 있다”면서 “유럽에서의 리콜 비용은 총 1억6000만 유로(약 2081억원)가량으로 추산된다”고 전했다.

BMW는 6일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 당시 “유럽에서 이미 2016년에 유사한 엔진 화재사고 사례가 보고됐으며 미국을 제외한 모든 해외시장에서 국내와 똑같은 EGR 모듈을 사용한다”면서 “EGR 결함률은 한국이 0.10%, 전 세계가 0.12%로 비슷하다”고 밝힌 바 있다.

자동차업계와 보험업계는 BMW가 차량 화재와 관련해 보험사들로부터 구상권 청구 소송을 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내 보험업계가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이번이 사실상 처음이다.

화재 사고를 당한 BMW 차량의 차주 20여명은 요한 에벤비클러 BMW 그룹 품질 관리 부문 수석 부사장과 김효준 BMW그룹코리아 회장 등 BMW그룹 본사 및 BMW코리아 관계자 6명을 9일 자동차관리법 위반 혐의로 고소하겠다고 나섰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