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서울대 총장 올해 안에 뽑을 수 있을까, 계속되는 학내 진통

입력 2018-08-07 17:36 수정 2018-08-08 09:11

서울대 차기 총장 선출을 둘러싼 진통이 계속되고 있다. 학내 단체들이 잇따라 총장 최종 후보 선출을 맡았던 총장추천위원회(총추위)가 사태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나섰다. 최종 후보 낙마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거친 뒤 내부 의견 조율을 거치고 있지만 이미 무너진 기존 선거 체제의 신뢰를 회복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서울대 교수협의회(교협)는 7일 전체 교수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이번 사태에 대해 총추위 집행부가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주시길 간곡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사실상 집행부 사퇴를 요구한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대 전체 교수들의 자치단체인 교협에서 총추위 행보 관련 입장을 낸 것은 처음이다.

교협은 총추위 구성원들에게 “신임 총장 아래에서 보직을 포기해 달라”면서 “보직금지를 운영규정에 명문화해 달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본부는 총추위의 선거관리기능 강화와 학내 구성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검증 인프라를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달 27일 서울대 이사회는 총장 후보자 3명을 총추위로부터 다시 추천받아 최종 후보자 선정 절차를 올해 안에 마무리하기로 결정했다. 총장 선출 제도 개선은 차기 총장을 선출한 뒤에 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총추위가 현 체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자 학내 단체들이 잇따라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유용태 서울대 민주화교수협의회(민교협) 의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총추위 재구성 여부는 구성원들이 총장 직무대행 중심으로 합의하기에 달린 일이며 이사회에서 결정할 사항이 아니다”고 말했다. 서울대 대학노조 역시 총추위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총학생회는 12일 열리는 총운영위원회에서 대응방안을 최종적으로 정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