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킹크랩 시연회 갔나” “센다이 총영사직 제안했나”

입력 2018-08-06 18:17 수정 2018-08-06 22:00
허익범 특별검사팀은 6일 소환한 김경수 경남도지사를 상대로 댓글 자동조작 프로그램 ‘킹크랩’ 시연회 참석 여부를 집중 추궁했다. 김 지사가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드루킹’ 김동원(49·구속기소)씨 측에 일본 센다이 총영사직을 대가로 도움을 요청한 혐의를 입증하는 데도 주력했다.

특검팀은 지난달 18일 김씨가 제출한 USB, 지난 2일 압수한 김 지사의 컴퓨터 등 물적 증거를 바탕으로 김 지사의 진술 중 모순이 없는지 집중 신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지사가 ‘모르쇠 전략’으로 일관하고 있는 만큼 물증으로 혐의를 입증한다는 계산으로 풀이된다.

특검팀은 김 지사의 댓글 조작 공범 혐의에 대해 수사력을 집중해 왔다. 하지만 김 지사는 이를 줄곧 부인했다. 그는 지난 4월 국회 기자회견에서 “(드루킹에게) 의례적으로 감사 인사를 보낸 적은 있지만 수시로 연락을 주고받았다는 건 명백히 사실이 아니다”며 “온라인상 댓글 긍정 반응을 요청한 적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지사는 지난 5월 자신이 2016년 11월 킹크랩 시연회에 참석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자 “황당하고 어처구니없는 소설 같은 얘기”라고 강하게 부인했다. 그는 느릅나무 출판사에 방문한 건 맞지만 킹크랩을 통한 댓글 조작 시연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경남도지사 취임 후인 지난 7월에는 한 방송에서 “킹크랩, 매크로 같은 것들에 대해선 언론 보도에서 처음 알았다”고 했다.

특검팀은 이와 관련, 당시 킹크랩 시연회에 참석했던 ‘경제적 공진화 모임’ 회원들의 진술을 통해 김 지사가 참석한 정황과 동선 등을 특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김씨는 지난 5월 작성한 옥중편지에서 “김경수 의원에게 킹크랩을 브리핑하고 모바일 형태의 매크로를 제 사무실에서 보여줬다”고 주장했다. 김씨는 또 김 지사가 시연회에 참석해 고개를 끄덕이는 방식으로 댓글 작업을 묵인했다고 진술했다.

특검팀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도 추가했다. 특검팀은 김씨에게서 확보한 USB를 통해 김 지사가 지난해 12월 김씨 측에 일본 센다이 총영사직을 대가로 6·13 지방선거를 도와 달라고 한 것으로 의심해 왔다. 당초 김씨가 김 지사에게 도모 변호사를 오사카 총영사직에 추천해 달라고 요구했다는 것과는 정반대의 내용이다.

김 지사 측은 “그런 사실이 없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당시 지방선거 출마를 고려하지 않았던 만큼 특검 주장은 억지라는 것이다. 김 지사는 지난 4월 국회 기자회견에서도 “오사카 총영사직과 청와대 행정관 두 건만 있었다”고 말했다.

특검은 김씨가 김 지사에게 전달한 정치후원금 2700만원의 성격에 대해서도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고(故) 노회찬 의원이 받았던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김 지사 역시 받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검은 송인배 정무비서관 등 청와대 인사까지 조사를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가 김씨 측근 윤모 변호사에게 아리랑TV 비상임 이사직을 제안했다는 의혹도 확산되고 있다. 청와대는 의혹을 부인했지만 윤 변호사는 이날 취재진과 만남에서 “(이사직을) 제안 받았다”고 답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