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車 보험료 인상 움직임 ‘제동’

입력 2018-08-06 19:07

금융위원회가 손해보험사의 자동차보험료 인상 움직임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최종구(사진) 금융위원장은 6일 금융위 간부들과 가진 티타임에서 “자동차 보험사 간 경쟁이 치열하고 최근 온라인 전용보험 확산에 따른 사업비 절감 등 인하 요인도 있다”면서 “실제 보험료 인상 수준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폭염, 불가피한 생활물가 상승으로 많은 국민이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만큼 시장의 자율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자동차보험료 인상 요인과 반영 방식 등을 놓고 보험업계와 협의하겠다”고 덧붙였다. 자동차보험료 인상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인상 폭이나 시기는 신중해야 한다는 의미의 발언이다.

보험업계에서는 정비요금 및 최저임금 인상, 사상 최악의 폭염에 따른 교통사고 증가 등으로 보험료 원가 상승 요인이 발생한 만큼 자동차보험료를 평균 3∼4% 올려야 한다고 본다. 주요 손보사들은 오는 10월 자동차보험료를 올리기 위해 인상 폭 등을 조율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6월 말 자동차 사고 수리 시 보험회사가 자동차 정비소에 지급해야 할 적정 정비요금을 19.5% 인상한다고 발표했었다. 이에 따라 보험금 지급액이 연간 3142억원 가까이 늘고, 2.9%의 보험료 인상 요인이 생긴다. 최저임금 인상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목됐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