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센터 260여명 정규직 전환 추진 한시적 ‘일자리안정자금’ 상시화?

입력 2018-08-05 18:16 수정 2018-08-05 23:40

일자리안정자금 신청자를 안내하고 상담하던 260여명의 비정규직 콜센터 직원이 정규직으로 전환된다. 이들은 민간업체에서 고용노동부 산하 근로복지공단으로 소속이 바뀐다. 근로복지공단이 직접 뽑은 일자리안정자금 보조인력의 정규직 전환이 불투명한 점과 대비된다. 높은 경쟁률을 넘어야 하는 ‘공시족’(공무원·공공기관 시험 준비생)과의 형평성 문제도 불거질 수 있다. 일부에선 콜센터 직원의 정규직 전환을 놓고 ‘한시적’이라던 일자리안정자금을 ‘상시화’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5일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과 근로복지공단에 따르면 비정규직 콜센터 직원들을 정규직으로 바꾸는 작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들은 민간 용역회사 소속이다. 전체 398명 중 260여명이 전환될 예정이다. 전환 대상에는 일자리안정자금만 전담하는 인원도 48명 포함됐다. 이들은 올해 7530원으로 오른 최저임금의 보완책으로 내놓은 일자리안정자금을 신청하는 방법 등을 안내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근로복지공단 관계자는 “공단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작업의 일환”이라고 전했다.

이들과 달리 공단이 직접 일자리안정자금 보조인력으로 뽑은 703명은 전환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들은 소상공인들에게 현장 안내를 하는 업무 등을 담당하는 1년 계약직이다.

공시족 입장에선 달갑지 않은 소식이기도 하다. 지난해 하반기 근로복지공단의 입사경쟁률은 33대 1을 기록했다. 450명을 뽑는 데 1만4859명이 몰렸다. 지난해 기준으로 평균 연봉이 5564만원인 안정적 일자리를 찾기 위해 몰려든 것이다. 콜센터 직원들은 이 과정을 거치지 않고 채용된다.

이 때문에 콜센터 직원의 정규직 전환을 놓고 해석이 분분하다. 일자리안정자금 업무를 지속하겠다는 정부의 신호로 보일 수도 있어서다. 김영주 고용부 장관이 일자리안정자금의 확대 개선을 추진한다는 점도 이런 지적에 힘을 싣는다.

세종=신준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