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지역 주택가격이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 수준을 돌파한 것으로 조사됐다. 향후 금리 인상, 집값 하락 충격이 가해지면 금융시스템이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5일 한국은행의 해외경제포커스에 실린 ‘유로지역 부동산시장의 잠재위험과 정책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유로지역의 전년 동기 대비 주택가격 상승률은 오름세다. 지난해 2분기 3.7%, 3분기 3.9%, 4분기 4.3%, 올해 1분기 4.5%로 계속 높아지고 있다.
재정위기를 경험한 이탈리아 아일랜드 스페인을 제외한 대다수 유럽국가 집값은 금융위기 직전의 최고 수준을 웃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집값이 경제성장률이나 물가상승률 등 실물 경기지표의 개선 속도보다 빠르게 상승하면서 위기의식이 더 커지고 있다. 즉 거품이 잔뜩 끼어있다는 얘기다. 유럽중앙은행(ECB) 계량분석 결과 지난해 말 기준으로 유로지역 주택가격은 경제 기초여건을 반영한 ‘균형가격’을 6%가량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용 부동산 가격은 약 40%를 웃돌았다.
주택가격 급등의 원인으로는 크게 3가지가 지목된다. 실질 가처분소득 확대, 저금리로 상환부담 축소, 이민자 유입에 따른 주택 수요 급증이 배경으로 분석됐다.
일부 국가는 주택대출 규모가 경제수준, 은행 자본에 비해 과도하다. 덴마크의 주택대출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106.7%에 달한다. 스웨덴(65.8%)과 네덜란드(62.4%) 영국(55.3%)도 대출비율이 높았다.
스웨덴 덴마크 네덜란드의 주택대출은 은행 자본의 6배를 초과해 은행 자산건전성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럽시스템리스크위원회(ESRB)는 이들 국가를 포함해 오스트리아 벨기에 핀란드 룩셈부르크 등 8개국을 ‘요주의 국가’로 선정하고 자산건전성 규제에 나서도록 했다.
한은 보고서는 “주택가격 붕괴를 동반한 경기 침체는 통상적인 경기 침체보다 충격의 강도가 2∼3배 크고 장기간 지속된다는 국제통화기금(IMF)의 분석이 있다”면서 “규제 움직임에도 부동산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어 계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동훈 선임기자 dhlee@kmib.co.kr
“유로지역 집값, 금융위기 직전 수준 돌파”
입력 2018-08-05 1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