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무사 USB에서 지워진 수백 개의 계엄 시행준비 파일들

입력 2018-08-02 18:12
국군기무사령부의 세월호 민간 사찰 및 촛불집회 계엄령 검토 문건 작성 의혹 등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 지난 7월 19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검찰단 별관 사무실에서 전익수 특별수사단장이 사무실을 나오고 있다.

국방부 특별수사단은 2일 국군기무사령부의 계엄령 문건 관련 USB(이동식 저장장치)에서 ‘계엄시행준비’에 관한 내용이 다수 포함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특수단은 ‘기무사 의혹 특별수사단 수사경과’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USB 안에 수백개의 파일이 저장됐다가 삭제된 흔적을 발견하고 이 중 상당수를 복구했다”고 밝혔다.

특수단은 특히 “복구된 파일에 계엄시행준비에 관한 내용이 다수 포함된 점에 주목하고, 압수물 분석 자료와 관련자 진술 등을 통해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수단은 지난달 16일 USB를 확보했다.

특수단에 따르면 계엄문건 보고서의 당초 제목은 언론에 공개된 ‘전시계엄 및 합수업무 수행방안’이 아닌 ‘현 시국 관련 대비계획’이었다.

기무사는 계엄문건 작성 TF를 비밀리에 운영하기 위해 ‘미래 방첩업무 발전방안 태스크포스(TF)’란 이름으로 인사명령·예산 및 별도 장소를 확보했다. 또 망이 분리된 PC를 이용해 문건을 작성하고, TF 운영 이후 사용된 전자기기를 포맷하기도 했다.

특수단은 지난달 16일 수사를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계엄령 문건과 관련해 TF에 참여한 16명을 포함해 기무사 관계자 25명을 소환 조사했다. 또 기무사에 대해서는 두 차례 압수수색을 했다.

특수단은 또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 이후 기무사가 세월호 유족을 사찰한 사실도 확인했다. 특수단은 “기무사는 세월호 참사 발생 이후 현장지원 등을 명목으로 세월호 TF를 구성해 일반 지원업무 이외에도 유가족을 사찰한 사실을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또 “현장 및 사이버 사찰을 통해 유가족의 성향, 정부 발표에 대한 반응, 유가족의 사진, 학력,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수집해 보고한 사실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특수단 내 계엄문건 수사팀 16명은 이날 서울동부지검 민군 합동수사단 사무실로 이동했다. 세월호 민간인 사찰 수사팀은 국방부 영내 특수단 사무실에 남아 수사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