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도 對中 무역전쟁 가세 조짐

입력 2018-08-02 04:00
지난 4월 중국 인도 정상회담에서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시진핑 주석이 악수하는 모습.

인도 의회가 중국산 수입품에 제동을 거는 보호무역을 주장하는 등 인도도 중국과의 무역전쟁에 가세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인도·태평양 경제비전’ 창설과 맞물려 인도가 중국 견제를 위해 미국과 공동보조를 취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인도 의회 상무위원회는 최근 “무더기로 수입되는 중국산 제품에 제동을 걸기 위해 공격적이고 선제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가 1일 보도했다.

상무위는 지난주 보고서를 통해 인도 국내 제조업 비중을 국내총생산(GDP)의 25% 이상으로 끌어올려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서 중국산 수입품이 인도 경제, 특히 제조업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는 2017년 대중 무역수지 적자가 전년 대비 8% 이상 늘어나는 등 고질적인 무역 불균형에 불만이 팽배해 있다.

인도는 자국의 제조업 육성을 위해 직물이나 장난감, 램프 등 노동집약적 경공업 제품에서 중국산 의존도를 낮추는데 주력하고 있다. 중국 저장성에 있는 한 조명회사 대표는 “올 들어 인도에서의 주문이 전년 대비 50% 감소했다”면서 “인도 전통축제인 디왈리 페스티벌을 둘러싼 수주도 작년에 비해 절반으로 줄었다”고 말했다. 올해 초부터 모든 수입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인도 표준협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수입 억제를 위해 중국산 제품을 집중 타깃으로 삼고 있다고 이 업체 대표는 말했다.

한편 미국이 인도·태평양 지역에 1억1300만 달러(약 1264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히자 일본과 호주가 즉각 호응하며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를 견제하는 공동전선 구축에 나서고 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