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회찬 의원의 극단적 선택으로 주춤했던 허익범 특별검사팀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을 수사하는 특검은 참고인 신분이었던 김경수 경남지사를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만간 소환 통보도 할 예정이다. 수사의 핵심인 김 지사를 정조준하고 나선 것이다. 특검의 성패를 좌우할 수사 대상으로 거론돼 온 만큼 총력전이 시작된 모양새다. 출범 36일 만이다.
특검 수사는 그동안 본류보다는 곁가지로 흘러 속도를 내지 못했다. 그 과정에서 노 의원 사건까지 터져 마음고생이 많았다. 이런 어려움에도 성과는 있었다. 드루킹의 USB(이동식 저장장치) 등을 확보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여기에는 드루킹과 김 지사가 보안 메신저 ‘시그널’을 통해 주고받은 내용도 포함돼 있다. 주목되는 것은 대선 이전인 지난해 1월 5일의 메시지다. 김 지사가 드루킹에게 “재벌 개혁 방안에 대한 자료를 러프하게라도 받아볼 수 있을까요”라고 묻자, 드루킹은 “목차만이라도 내일 들고 가겠습니다”라고 했다. 구체적인 만남 장소와 시간도 교환했다. 같은 해 2월 3일 드루킹이 김 지사에게 연락해 개성공단 2000만평 개발 정책을 제안한 것도 들어 있다고 한다. 두 사람의 관계가 단순한 정치인-지지자의 사이를 넘어 중요한 문제들을 상의할 정도로 긴밀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수많은 지지그룹이 돕겠다고 연락해 왔다. 그중 하나”라는 김 지사의 4월 기자회견 해명이 거짓이라는 얘기다. 김 지사는 1일 “지난 경찰 조사에서 소명했던 내용을 마치 새로운 것인 양 반복해서 보도하고 있다”며 언론에 불만을 보였다. 하지만 참고인 신분이었던 당시 경찰 조사에서는 이런 내용이 나오지 않았다.
이번 수사의 핵심은 지난 대선 전후 인터넷 댓글 등을 통한 조직적인 여론 조작이 있었는지, 김 지사와 송인배 청와대 정무비서관 등 여권 실세 인사들이 개입했는지 여부다. 특검은 수집된 자료와 증거를 바탕으로 실체적 진실을 한 치 빠짐없이 규명해내야 한다. 검찰과 경찰의 봐주기·뒷북 수사 여부도 밝혀내야 할 과제 중 하나다. 민주주의의 근간인 여론을 왜곡한 중대 범죄의 전말을 좌고우면하지 말고 끝까지 파헤치는 것이야말로 특검의 존재 이유다. 이제 24일 남은 특검의 어깨가 무겁다.
[사설] 김경수-드루킹 커넥션 규명이 특검의 존재 이유다
입력 2018-08-02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