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의 83.5%는 장기적(79.6%) 혹은 이른 시일 내(3.9%)에 남북통일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통일로 인한 이익이 클 것’이라는 응답은 64.6%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가 31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발표한 ‘남북 관계에 대한 인식 여론조사’에서 나온 결과다.
북한 주민을 한민족으로 인식하는지에 대해 ‘그렇다’는 응답이 83.6%로 ‘그렇지 않다’(16.4%)라는 응답을 크게 웃돌았다. 북한에 대해 우리의 안전을 위협하는 대상(78.4%), 우리가 경계해야 할 대상(70.2%)이라는 부정적인 응답과 우리가 힘을 합쳐 협력해야 할 대상(77.6%), 궁극적으로 통일의 대상(76.3%)이라는 긍정적 응답이 비슷하게 나왔다.
북한이 향후 개혁·개방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감은 85.1%로 높게 나왔지만 북한의 핵·미사일 포기 가능성에 대해서는 ‘포기할 것’이라는 전망(33.7%)보다 ‘포기하지 않을 것’(43.2%)이라는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한반도 평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협력에 대해서는 남북 간 협력(70.9%)이라는 응답이 한·미 간 협력(17.6%), 북·미 간 협력(8.8%)보다 훨씬 높았다.
우선 추진돼야 할 대북 정책으로는 북한의 비핵화 조치(63.8%)를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평화협정 체결(38.0%), 남북 경제협력(31.6%), 북한의 개혁·개방(27.0%), 이산가족 상봉(24.5%) 순으로 조사됐다. 문체부는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이번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앞으로 격월 간격으로 계속 조사할 계획이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국민 10명 중 8명 “남북통일 가능”
입력 2018-07-31 18:24